“성인 3명중 1명 저녁 외식...아침 외식족도 증가세”

“성인 3명중 1명 저녁 외식...아침 외식족도 증가세”

입력 2015-01-05 10:01
업데이트 2015-01-05 10: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단국대 주세영 교수팀 “외식으로 지방·나트륨 섭취량 약 25% 늘어”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1명은 저녁식사를 외식하고, 아침에도 외식을 하는 비율이 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주세영 교수팀은 1998∼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시 자료를 바탕으로 19세 이상 성인 5만5천718명을 분석한 결과, 저녁식사를 밖에서 사먹는 비율이 1998년 20%에서 2012년 32%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아침식사 외식 비율도 1998년 7.3%에 불과했으나 2012년에는 13.7%로 늘었다.

조사 결과 국내 성인의 하루 평균 외식 횟수는 0.9회였으며 20대가 1.2회로 가장 많았고 30∼40대가 1.1회로 그 뒤를 이었다.

20대는 가장 외식을 적게 하는 연령대인 75세 이상(0.3회)에 비해 4배나 자주 밖에서 음식을 사먹는 셈이라고 주 교수는 설명했다.

주 교수는 외식횟수 증가로 식생활 건강은 오히려 나빠졌다며 외식을 통한 하루 열량 섭취량은 1998년 948㎉에서 2012년 1063㎉으로, 지방 섭취량은 21.6g에서 27.2g으로, 나트륨 섭취량은 2371㎎에서 2935㎎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방과 나트륨 섭취량은 1998년과 비교해 각각 26%, 24% 증가한 수치다.

주 교수는 “외식 빈도가 가장 빈번한 20∼30대 고학력 미혼 남성들을 대상으로 식습관 교육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한국영양학회와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가 발간하는 영문 학술지인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최근호에 소개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