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맥주 수입액 1억弗 돌파…무역수지 적자폭 최대

지난해 맥주 수입액 1억弗 돌파…무역수지 적자폭 최대

입력 2015-01-19 07:46
업데이트 2015-01-19 07: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입량>수출량…일본·네덜란드 맥주 인기

수입맥주 열풍 속에 지난해 한국의 맥주 수입액이 처음으로 1억달러를 넘어섰다.

특히 통계를 찾아볼 수 있는 1995년 이래 처음으로 수입량이 수출량을 넘어서면서 무역수지 적자폭도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19일 관세청과 유통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이 수입한 맥주는 약 1억1천164만달러어치로 2013년(8천967만달러)보다 24.5% 급증했다.

지난해 수입한 맥주를 원화로 환산하면 약 1천209억원어치다.

맥주 수입량은 외환위기 당시 급격히 줄었다가 2000년 전후 급증한 것을 제외하면 최근 2∼3년 사이 가장 두드러지게 늘었다.

수출입 규모를 보더라도 지난해 맥주 수출중량(11만1천4t)이 2013년(11만3천155t)보다 줄어들면서 2009년 이후 4년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이에 비해 같은 기간 수입중량은 25.5%(9만5천211t→11만9천467t) 늘어나면서 통계를 찾아볼 수 있는 1995년 이후 처음으로 수출량을 앞질렀다.

무역수지 적자폭 역시 지난해 3천846만달러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한국인들이 많이 마신 맥주를 국가별로 살펴보면 아사히·삿포로 등 방사능 유출 우려로 한때 소비가 줄었던 일본 맥주(3만1천914t)가 4년째 1위 자리를 지켰다.

하이네켄을 비롯한 네덜란드 맥주(1만7천821t)가 2위를 기록했고, 독일 맥주(1만6천688t)가 비슷한 기록으로 그 뒤를 이었다.

지난해 5위였던 중국 맥주(1만1천490t)는 4위로 올라섰고, 마이너스 성장을 한 미국 맥주(8천944t)는 5위를 기록했다.

호가든을 비롯한 벨기에 맥주와 기네스 등 아일랜드 맥주도 10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맥주 수입이 이처럼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는 것은 최근 독한 술 대신 순하고 다양한 술을 즐기려는 수요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대형마트와 백화점 등 유통업체들이 지속적으로 수입 맥주 판매를 늘려가고 있는 점, 신사동 가로수길이나 이태원 등을 중심으로 수제 맥주를 취급하는 레스토랑이 늘어나는 점도 비슷한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수입맥주 밀러를 수입하는 사브밀러 브랜드 코리아가 다음 달 중순부터 일부 제품 가격을 인상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국내에서 인기가 높아진 수입 맥주들이 줄줄이 가격을 올리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