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면+김밥’이 가벼운 한끼?…작년 서민 외식물가 껑충

‘라면+김밥’이 가벼운 한끼?…작년 서민 외식물가 껑충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1-04 09:21
업데이트 2018-01-04 09: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2.4%↑…5년 연속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 앞질러

2%대에 미치지 못하는 저물가 기조가 계속되고 있지만, 외식물가는 5년 연속으로 전체 물가 상승률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김밥, 소주, 라면, 짬뽕 등 서민이 주로 즐기는 외식 메뉴 가격이 많이 올라 피부로 느끼는 상승은 더 컸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외식물가가 연초부터 들썩이고 있어 이러한 현상은 올해도 계속될 전망이다.

4일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외식물가는 1년 전보다 2.4%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1.9%)보다 0.5%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이렇게 외식물가가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높은 현상은 5년째 계속되고 있다.

외식물가는 2013년 1.5%, 2014년 1.4% 상승한 후 2015년 2.3%, 2016년 2.5%를 기록해 2%대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전체 소비자물가는 2013년 1.3%, 2014년 1.3%, 2015년 0.7%, 2016년 1.0% 등으로 1%대에 머물러 대조를 보였다.

상승 품목을 세부적으로 들여다보면 서민이 주로 찾는 품목의 상승률이 특히 높았다.

간편하게 한 끼를 해결할 수 있는 김밥은 작년 한 해에만 무려 7.8%가 상승했다. 전체 소비자물가와 비교하면 4배나 높은 수준이다.

한 잔에 일상의 스트레스를 담아 날려버리는 서민의 술인 소주 가격도 5.2% 상승해 주머니를 가볍게 했다.

맥주 가격도 2.5% 오르며 서민이 즐기는 폭탄주인 ‘소맥’의 원가를 높였다.

갈비탕(4.5%), 라면(4.2%), 짬뽕(4.0%), 볶음밥(3.6%), 설렁탕(3.3%), 짜장면(3.2%), 구내식당식사비(2.8%) 등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2배 이상 뛴 품목이었다.

통계청이 분석하는 전체 39개 외식품목 중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낮은 상승률을 보인 품목은 스테이크(1.9%), 돈가스(1.8%), 비빔밥(1.7%), 생선 초밥(1.4%), 치킨(0.9%) 등 16개에 불과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김밥 등 가격이 크게 오른 것은 작년 달걀값이 많이 오르는 등 원재료 가격 인상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소주 가격도 작년 초부터 병당 3천원에서 4천원으로 올린 곳이 늘어났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외식물가 고공행진은 올해도 이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최저임금이 7천530원으로 16.4% 상승하면서 발생한 인건비 부담이 외식 가격에 반영되는 조짐을 보인다는 것이다.

죽 전문점 ‘죽 이야기’는 1일부터 버섯야채죽과 꽃게죽, 불낙죽 등 주요 제품의 가격을 1천원씩 올렸다. 다른 메뉴도 조만간 인상할 계획이다.

지난달에는 KFC가 치킨, 햄버거 등 24개 품목의 가격을 평균 5.9% 올렸다.

놀부부대찌개와 신선설농탕도 주요 메뉴 가격을 5.3∼14% 인상했다.

[표] 2017년 외식품목 가격 상승률

┌──────────────┬──────────────┐

│구분 │상승률 │

├──────────────┼──────────────┤

│총지수 │1.9 │

├──────────────┼──────────────┤

│외식 전체 │2.4 │

├──────────────┼──────────────┤

│김밥 │7.8 │

├──────────────┼──────────────┤

│소주(외식) │5.2 │

├──────────────┼──────────────┤

│갈비탕 │4.5 │

├──────────────┼──────────────┤

│라면(외식) │4.2 │

├──────────────┼──────────────┤

│짬뽕 │4.0 │

├──────────────┼──────────────┤

│볶음밥 │3.6 │

├──────────────┼──────────────┤

│설렁탕 │3.3 │

├──────────────┼──────────────┤

│짜장면 │3.2 │

├──────────────┼──────────────┤

│구내식당식사비 │2.8 │

├──────────────┼──────────────┤

│삼겹살(외식) │2.6 │

├──────────────┼──────────────┤

│떡볶이 │2.6 │

├──────────────┼──────────────┤

│맥주(외식) │2.5 │

├──────────────┼──────────────┤

│김치찌개백반 │2.4 │

├──────────────┼──────────────┤

│돼지갈비(외식) │2.4 │

├──────────────┼──────────────┤

│생선회(외식) │2.4 │

├──────────────┼──────────────┤

│쇠고기(외식) │2.3 │

├──────────────┼──────────────┤

│냉면 │2.3 │

└──────────────┴──────────────┘

※ 자료 : 통계청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