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청년실업률 9.9% 역대 최고…취업자 수도 지지부진

지난해 청년실업률 9.9% 역대 최고…취업자 수도 지지부진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8-01-10 09:11
업데이트 2018-01-10 15: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취업자 증가폭 3개월 연속 20만명대 그쳐…금융위기 이후 처음

지난해 청년실업률이 9.9%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10명 가운데 1명은 실업자인 셈이다. 고용상황이 좀체 개선되지 않으면서 지난달 취업자 수도 25만 3000명으로 석달째 30만명에 도달하지 못했다.
이미지 확대
2017년 청년실업률 역대 최고 9.9%
2017년 청년실업률 역대 최고 9.9% 지난해 11월 10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에서 열린 2017 서울 글로벌기업 채용박람회에서 구직자들이 채용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1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9.9%로 현재 기준으로 측정한 2000년 이래 가장 높았다.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최근 청년 고용상황 안 좋다”고 전제한 뒤 “11월은 공무원 추가 채용 시험 원서 접수, 12월은 지방직 공무원 시험이 있어서 20대와 청년층 중심으로 기존 구직단념자 취업준비생이 실업자로 옮겨온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전체 실업률은 3.7%로 2016년과 동일했다.

취업자 증가 수도 정부 목표치에 계속 미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취업자는 2642만 1000명으로 1년 전보다는 25만 3000명 증가했지만 월간 취업자 수 증가 폭이 정부 목표인 30만명에 미달한 것은 지난해 10월부터 3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청년실업률 역대 최고 9.9%
지난해 청년실업률 역대 최고 9.9% 통계청은 10일 지난해 청년실업률이 역대 최고인 9.9%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서울신문DB
취업자 증가 폭이 3개월 연속 20만명대에 머문 것은 금융위기 시절인 2007년 8월부터 2010년 3월까지 장기간 30만명대 미만을 기록한 후 처음이다.

지난해 취업자는 2655만 2000명으로 31만 7000명 증가했다. 연간 취업자 수 증가 폭은 2016년 29만 9000명보다는 많았지만 2015년 33만 7000명, 2014년 53만 3000명에는 미달했다.

도매 및 소매업에서 취업자가 증가세로 전환했고 건설업은 취업자 증가 폭이 커졌다.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도 취업자 증가세가 이어졌다. 반면 운수업, 금융 및 보험업, 제조업 등은 감소했다.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