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셋값 상승률 ‘매매가’의 3배

서울 전셋값 상승률 ‘매매가’의 3배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6-01-11 22:40
업데이트 2016-01-11 23: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평균 5936만원 ‘껑충’

지난해 일 년 동안 서울 지역 아파트의 전셋값이 매매값의 두 배가량 올랐다. 아파트 매매값 전망은 불투명해 아파트를 사려는 사람은 적은데 저금리 때문에 전세를 월세로 돌리는 집주인이 늘어나면서 전세가 품귀 현상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도 아파트 전셋값은 오를 전망이다. 11일 KB국민은행의 주택 가격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서울 지역 아파트의 평균 전세 가격은 3억 7800만원이다. 1년 전(3억 1864만원)에 비해 5936만원(18.6%) 올랐다. 아파트의 평균 매매값은 5억 2475만원으로 1년 전(4억 9177만원)보다 3298만원(6.7%) 올랐다. 매매값도 뛰긴 했지만 전셋값 상승의 절반에 그쳤다. 지난달 발표된 통계청의 ‘2015년 가계금융·복지 조사’에 따르면 2014년 한 해 동안 가계의 평균 소득은 4767만원이다. 번 돈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도 다락같이 오르는 전셋값을 감당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는 결국 전세대출로 이어진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4년 6월 말 현재 전세보증금 430조원, 월세보증금 90조원 등 전월세보증금이 530조원으로 추정된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76.5%,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70.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아파트 전셋값 상승을 지역별로 보면 경기 지역 아파트 전셋값이 평균 3245만원 올라 뒤를 이었다. 그다음이 인천(2820만원)이다. 수도권 전반에 걸쳐 아파트 전셋값이 오르고 있는 것이다.

전셋값은 올 들어서도 오르고 있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서울 지역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보다 0.09% 올랐다. 서울 지역 아파트 매매값이 0.02% 오르고 일부 지역의 경우 아파트값이나 전셋값이 내림세를 보인 것과 대조적이다. 인천 지역 아파트 매매값(0.06%)과 전셋값(0.07%), 경기 아파트 매매값(0.02%)과 전셋값(0.06%)도 올랐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6-01-12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