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세 김과장도 은행서 짐 싼다

40세 김과장도 은행서 짐 싼다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3-01-03 20:40
업데이트 2023-01-04 00: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희망퇴직 연령 낮춘 은행들

하나 1983년생 이상 대상자
신한도 45세까지 신청받아
이달 3000명 가까이 떠날 듯

이미지 확대
이달 말 KB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등 4대 은행에서만 2000~3000명에 이르는 인원이 대거 짐을 쌀 것으로 보인다. 40대도 대상에 포함되면서 지난해보다 퇴직자가 대거 늘어나게 됐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이날부터 9일까지 준정년 특별퇴직 신청을 받는다. 대상은 오는 31일 기준 만 15년 이상 근무하고, 만 40세(1983년생) 이상인 일반직원이다. 대상자로 선정되면 직급·연령에 따라 최대 24∼36개월치 평균임금을 받는다. 1968∼1970년생은 자녀 학자금, 의료비, 재취업·전직 지원금 등도 받는다. 하나은행은 인사위원회 심의를 거쳐 이달 31일까지 해당자들의 퇴사를 마무리한다.

신한은행도 전날부터 희망퇴직을 받는데 역시 연령대가 낮아졌다. 4급 이하 일반직·무기계약직·리테일서비스(RS)직·관리지원계약직에서 45세인 1978년 이전 출생자를 대상으로 희망퇴직 신청을 받는데, 대상자 나이가 40대 중반까지 하향 조정된 것이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이 직급들에서는 1966년생을 대상으로만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앞선 2018년에도 이와 비슷한 조건의 희망퇴직을 진행했는데, 당시 700여명이 대거 퇴직한 바 있다. 특별퇴직금으로는 출생연도에 따라 최대 36개월치 급여가 지급된다.

은행권은 매년 연말·연초에 희망퇴직을 진행하고 있다. 지난해 초에는 국민은행 674명, 신한은행 250명, 하나은행 478명, 우리은행 415명 등 4대 은행에서만 직원 1817명이 희망퇴직했다. 그러나 올해 희망퇴직 대상 연령을 40대 초반까지 낮추면서 이달 말까지 2000명 이상, 많게는 3000명에 가까운 인원이 은행을 떠날 가능성이 높아졌다.

앞서 우리은행과 NH농협은행은 지난달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는데, 우리은행은 1980년 이전 출생자도 대상에 포함시켰다. 농협은행은 10년 이상 근무한 일반직원 가운데 1982년생 직원도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다. 농협은행에서는 2021년(427명)보다 60명 이상 많은 493명이 지난해 말 퇴직했다.

국민은행은 지난달 28일부터 노사가 합의한 희망퇴직 대상과 조건 등을 공지하고 전날까지 신청을 받았다. 국민은행의 희망퇴직 대상은 1967년생부터 1972년생까지다.
황인주 기자
2023-01-04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