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 활발연령 한국 30,40대, 美·유럽 40,50대

주식투자 활발연령 한국 30,40대, 美·유럽 40,50대

입력 2015-01-25 10:29
업데이트 2015-01-25 10: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식투자가 가장 활발한 우리나라 국민의 연령대가 미국과 유럽에 비해 10년 이상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자본시장연구원의 ‘가계의 주식 및 펀드시장 참여에 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간 주식시장 및 펀드시장 참여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35∼44세였다.

주식시장의 경우 35∼44세의 참여율은 14.2%로 45∼54세(12.1%)를 제치고 가장 높았다.

55∼64세는 8.6%로 25∼34세(8.2%)보다 약간 높았고 이어 24세 이하(3.1%), 65세 이상(2.6%)의 순이었다.

펀드시장의 경우도 마찬가지여서 35∼44세 참여율이 21.8%로 최고였다.

이어 25∼34세가 18.6%로 두 번째였고 그 다음은 45∼54세(17.7%), 55∼64세(11.3%), 24세 이하(6.9%), 65세 이상(2.8%)의 순이었다.

이처럼 국내에선 35∼44세의 증시 참여율이 정점을 이뤘지만 구미는 이보다 10년 이상 늦은 4,50대의 참여율이 가장 높았다.

미국의 위험자산 참여율(주식.펀드 포함, 1998년 기준)은 45∼54세가 58.9%로 최고였고 35∼44세(56.5%)와 55∼64세(56.2%)가 비슷하게 그 뒤를 이었다.

그다음은 65∼74세(43.3%)여서 우리나라에 비해 상대적으로 중장년층 이상의 참여율이 높았다.

영국의 위험자산 참여율(주식.펀드 포함, 1998년 기준)도 60∼69세가 65.9%로 가장 높고 이어 50∼59세(65.7%), 40∼49세(59.5%)의 순이어서 미국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유로존 15개국의 평균 주식시장 참여율(2010년 기준) 역시 55∼64세가 13.3%로 가장 높았고 이어 45∼54세(11.2%), 65∼74세(10.4%)의 순이었다.

유로존 15개국의 평균 펀드시장 참여율(2010년 기준)도 55∼64세가 13.1%로 최고였고 45∼54세(13.0%)가 그 뒤를 이었다.

김재칠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우리나라의 연령대별 시장 참여율 패턴이 다른 나라와 차이가 나는 것은 1차 퇴직시기가 빠른데다 고용구조와 노후보장 체계가 완전히 정착되지 않아 퇴직자산이 부족한 것 등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