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혼자서 잘 살기/함혜리 논설위원

[길섶에서] 혼자서 잘 살기/함혜리 논설위원

입력 2013-01-16 00:00
업데이트 2013-01-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간서적 중 ‘고잉 솔로’라는 책이 유독 눈길을 끌었다. 혼자 사는 것이 여러 가지 라이프스타일을 거친 뒤 21세기 인류 삶의 새로운 표준이 됐으며, 가장 매력적인 대안으로 인류학적 단계의 한 매듭을 짓고 있다는 것이다. 여성의 지위 상승, 통신혁명, 거대도시의 발달, 수명 연장이 그런 토양을 만들었다는 게 작가의 분석이다.

나이가 들면서 가장 큰 고민은 은퇴 후 인생 2모작을 어떻게 잘하는가였다. 여기에 이제 한 가지가 더 보태졌다. 어떻게 하면 혼자서 잘 살아갈 수 있을까. 혼자 왔다가 혼자 가는 것은 모든 생명체가 처한 공통의 숙명이다. 혼자서 나이를 먹으며 긴 세월을 살아야 하는 것이 현대인의 또 다른 숙명으로 다가온 이상 좀 더 당당하고 행복하게 살아야 하지 않겠나.

출판 담당을 하는 후배의 말인즉, 이 책에 관심을 가진 사람들이 무척 많았단다. 현재 혼자 살고 있는 사람들뿐 아니라 가족과 함께 사는 사람들도 혼자 사는 삶에 관심을 가졌다는 것은 다소 의외였다. 혼자서 잘 살기는 나만의 고민이 아니었던 게다.

함혜리 논설위원 lotus@seoul.co.kr

2013-01-16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