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낭만과 추억/손성진 논설실장

[길섶에서] 낭만과 추억/손성진 논설실장

손성진 기자
입력 2016-01-17 23:04
업데이트 2016-01-18 00: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또 한 편의 복고 드라마 ‘응팔’이 막을 내렸다. 많은 사람이 눈물을 흘리고 빠져들었다고 한다. 나는 이 드라마를 보지 않았다. 시간도 없었지만, 그 시절을 뚫고 살아온 사람이라 구미가 당기지 않았다. 다 겪었기 때문일까. 사실 나는 복고주의자다. 과거지향적이란 타박을 맞으면서도 과거의 삶에 집착한다. 태어나지 않았던, 태어났어도 기억이 없는 시간들에 대한 아련한 동경심이 강하다. 7년 전 1960년대까지의 생활사에 관한 잡문을 엮어 펴냈던 것도 그런 연유에서다.

시간이라는 진통제는 고통스러운 과거에 낭만이라는 이름을 덧씌워 준다. 지나고 나면 다 아름다운 추억이다. 한때, 박인환의 시를 읽으며 눈물을 흘리거나 ‘명동백작’에 열광했던 것은 낭만과 추억, 그 두 단어 탓이다.

과거에서 꼭 뭘 배워야 한다는 건 부담스럽다. 과거는 그저 과거일 뿐이다. 과거는 아픈 우리의 마음을 다스려 주는 엄마 손 같은 존재다. 지금의 삶이 지치고 힘들 때 과거를 떠올리면, 과거가 좋았든 나빴든, 조금은 위안이 된다. 복고 드라마의 열풍도 그 때문일 것이다. 오늘도 요절한 기형도 시인의 ‘빈집’을 읽으며 그 시절을 생각한다.

손성진 논설실장 sonsj@seoul.co.kr
2016-01-18 3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