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청년 취업의 고단함

[길섶에서] 청년 취업의 고단함

황비웅 기자
황비웅 기자
입력 2024-11-06 00:19
수정 2024-11-06 00: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집 근처 도서관에 갔을 때 일이다. 휴게 공간에 노트북을 켜고 긴장한 듯 앉아 있는 청년에게 눈길이 갔다. ‘휴게공간에서 무슨 일을 하려는 걸까’ 궁금해하던 차에 화면을 응시하던 청년이 불쑥 자기소개를 했다. 담담하지만 떨리는 목소리였다. 알고 보니 모 기업체의 온라인 면접을 보는 것이었다. 면접은 거의 20여분이나 걸렸다. 개개인에게 집중적인 질문이 가능한 것은 장점일 테지만, 면접자는 자신을 알몸으로 드러내는 기분이었을 게다.

청년취업 문제는 하루이틀 일은 아니다. 정부가 올해 1조원에 달하는 청년 취업 관련 예산을 쏟아부었는데도 ‘쉬었음’ 청년 인구는 전년 대비 10만명가량이나 늘었다고 한다. ‘쉬었음’ 청년이 느는 이유는 이들이 게을러서가 아니다. 취업할 만한 일자리가 부족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쉬는 것이다. 앞서 온라인 면접을 본 청년은 면접 도중에 연거푸 “잘 모르지만…”, “죄송합니다”를 연발했다.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지만 도울 수 있는 방법은 없었다. 좁디좁은 취업 문을 뚫기 위해 용감하게 시도하는 청년에게 부디 좋은 기회가 닿았기를.

황비웅 논설위원
2024-11-06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