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세상] 이주 청소년 윤철이/김교식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 이사장·전 여가부 차관

[열린세상] 이주 청소년 윤철이/김교식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 이사장·전 여가부 차관

입력 2015-01-13 18:02
업데이트 2015-01-13 18: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윤철(27·가명)군은 함경북도 경성에서 태어났다. 12살 때 아버지는 식량을 구한다며 중국으로 떠났다. 3개월 후 어머니마저 집을 나갔다. 하루아침에 고아가 됐다. 장터에서 얻어먹고 기차역에서 잠을 잤다. 하루하루가 전쟁터 같아서 내일을 생각할 겨를이 없이 그냥 살아남기 위해 몸부림쳤다. 그 사이 한국에 정착한 아버지가 윤철이를 한국으로 불러들였다. 17살이었다. 허벅지를 꼬집어 볼 만큼 좋았다. 또래들처럼 학교에 다닐 희망에 가슴이 벅찼다. 윤철이는 소원대로 학교에 갔다. 그러나 기초학습이 전혀 안 된 상태에서 긴 학습공백으로 학교 수업을 따라갈 수 없었다. 북한말과 어색한 행동을 할 때마다 당하는 놀림도 감당하기 어려웠고 탈북자에 대한 편견도 컸다. 학교가 소원의 전부였는데 그 학교가 점차 싫어졌다. 결국 그만뒀다.

김교식 아시아신탁 회장
김교식 아시아신탁 회장
‘이주배경 청소년’들은 이렇게 좌절하고 방황하면서 무너진다. 아직 낯선 ‘이주배경 청소년’이란 말은 본인이나 부모가 외국에서 출생한 것을 의미한다. 다문화가족 청소년, 탈북 청소년, 외국인 근로자의 자녀, 중도입국 청소년 등이다. 이들은 경제적 어려움, 가족 해체, 언어 불통, 교육 공백, 차별, 편견 등에 힘들어한다. 모든 것이 낯설고 모르는 것투성이다. 어린 나이지만 마음의 상처도 깊고 외로움도 크다. 특히 중도입국 청소년은 삼중고(三重苦)를 겪는다. 부모가 한국으로 재혼해 올 때 따라오거나 재혼 후 한국에 초청돼 들어온 청소년들을 일컫는데, 입국 당시 이미 10대 중후반인 경우도 많다. 한국말을 전혀 모르기 때문에 공교육 진입도 어렵고, 취업도 쉽지 않다. 탈북 청소년도 혼자인 경우가 의외로 많다. 탈북 후 3국을 오래 떠돌다가 가족과 헤어졌거나 부모를 잃기도 한다.

이런 이주배경 청소년은 해마다 빠르게 늘고 있다. 교육부 발표를 보면 2014년 4월 기준으로 전체 초중고생의 1.07%인 6만 7000여명이 이주배경 학생들이다. 1년 사이 21%나 늘었다. 학교를 다니지 않거나 중도 탈락한 청소년을 더하면 훨씬 더 많을 것으로 추산된다. 반면 지원과 관심은 아직 걸음마 수준이다. ‘이주배경 청소년 지원재단’이 사회적응 훈련으로 실시하는 ‘레인보스쿨’과 직업체험 과정인 ‘무지개 잡아라’ 등을 운영하지만 규모가 작다. 이제는 이주 청소년들을 투명인간처럼 ‘없는 사람’ 취급해서 해결될 일이 아니다. 무관심으로 일관한다면 얼마 뒤 그들은 성인이 돼 한국 사회의 큰 부담이 될 수 있다. 정부나 사회단체 등에서 이들을 대상으로 기초적인 한국 사회 적응훈련과 함께 언어교육, 심리치료, 직업훈련, 공교육 편입기회 등 개인별 맞춤형 지원을 체계적으로 펼쳐 나가야 한다. 우리 사회 전체가 그들 옆에서 함께 뛰고 격려하는 페이스메이커가 돼야 한다. 서로 다른 배경은 통합의 장애가 아니라 오히려 큰 자원이 될 수 있다.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란 속담이 있다. 이주배경 청소년들은 ‘안 꿰어진 구슬’일 뿐 꿰면 다 보배다. ‘윤철이의 그후’를 따라가 보면 더욱 명확하다. 학교를 그만둔 윤철이는 무지개청소년센터와 인연을 맺게 됐다. 이주배경 청소년재단이 운영하는 청소년들의 정착을 돕는 민간기관이다. 초기 적응 및 성장 지원과 소통 촉진 프로그램, 편견·차별 탈피 교육 등을 담당한다. 그는 무지개청소년센터와 교회 등의 도움을 얻어 검정고시를 통과했다. 대학에 특례입학으로 합격하고, 지난해 대학을 졸업했다. 캐나다 주의회의 초청으로 인턴 생활을 할 수 있었고, 지금은 미국 유학을 준비 중이다. “국제정치를 전공해 통일 한국을 위해 기여하는 ‘북한 전문가’가 되겠다”는 그의 꿈은 이제 코앞에 있다.

다가오는 통일시대를 준비하기 위해서라도 이주민 대책 특히 이주 청소년들에 대한 대책은 소수자에 대한 시혜적 지원 차원을 넘어 그들이 자신의 삶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힘을 불어넣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전체 인구의 20% 가까이가 이주배경을 가진 독일의 경우 사회통합을 목표로 이주민에 대한 기초교육이 노동시장으로 연계되도록 체계적인 교육과 직업훈련 정책을 갖추고 있다. 우리도 앞으로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이주 청소년들에게 마음의 시각을 활짝 열고 이들이 한국 사회가 다양하게 발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미래의 인재가 되도록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2015-01-14 3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