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북한 탈영병 사건 이후 국경지역 치안 강화

중국, 북한 탈영병 사건 이후 국경지역 치안 강화

입력 2015-01-06 15:48
업데이트 2015-01-06 15: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 당국이 지난해 말 지린(吉林)성 옌볜(延邊)조선족자치주에서 북한군 탈영병의 주민 살인사건이 발생한 이후 북한 접경 지역 촌락의 치안을 강화하고 나섰다.

6일 옌볜 지역 소식통들에 따르면 중국 공안은 최근 옌볜 주 허룽(和 龍)시 난핑(南坪)진 난핑촌에서 북한군 탈병영 살인사건이 발생하고 나서 허룽 일대 국경 마을을 돌며 개별 가정 방문을 하고 있다.

허룽시 카이산툰(開山屯)의 한 주민은 “며칠 전 공안이 집에 찾아와 수상한 사람을 발견하면 즉시 신고할 것을 당부하고 돌아갔다”면서 “이번 사건으로 동요하는 민심을 안정시키려는 의도인 것 같다”고 말했다.

북한과 국경을 맞댄 이들 지역은 예전부터 북한인들의 주요 탈북 경로로 꼽혀왔으며 외딴 산간이나 두만강변에 촌락이 많아 치안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청·장년층 대부분이 일자리를 찾아 외지로 떠나 주민이 20~30가구에 불과한 마을 전체가 범죄의 표적이 되면서 강·절도, 살인 등 강력사건이 빈발하고 북한인들이 밤에 강을 건너 식량과 가축을 약탈하는 행위도 심심치 않게 벌어졌다.

중국 신경보(新京報)는 이번 사건으로 피살된 난핑촌의 60~70대 두 부부도 자녀가 외국에서 일하는 탓에 평소 집에 노인들만 있었다고 전했다.

공안 당국은 2005년부터 옌볜 국경 마을의 10가구를 한 단위로 묶어 집마다 신고장치를 설치하고 한 가구에서 신고 버튼을 누르면 변방부대와 다른 9가구에 벨이 울려 신고 가구를 돕도록 했다.

이번 사건 발생 지역의 한 촌 주임은 중국 언론에 “권총과 칼을 소지한 북한군 탈영병이 범행 당시 모두 네 집에 들어갔는데 두 집에서 살인을 저질렀고 한 집에서는 주민이 경보기를 누르자 즉시 달아났다”고 전했다.

현지 소식통들은 북한의 식량 사정이 다소 호전되면서 과거보다 국경 지역 약탈이 줄어들기는 했지만, 식량 부족이 여전해 중국의 국경 마을 민가를 노린 약탈이 근절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랴오닝(遼寧)성 사회과학원의 북한 문제 전문가인 뤼차오(呂超) 연구원은 중국 언론과 인터뷰에서 “과거부터 북중 국경 지역에서는 북한 무장인원의 월경 약탈이 빈발했고 국경수비대원을 포함해 중국 측 사상자가 발생해왔다”면서 “전반적으로 보면 이런 사건의 발생 건수는 줄어드는 추세였는데 이번에 주민 피해가 큰 악성사건이 발생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