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개혁’ 워런, 제약·의료 개혁까지 추진

’월가 개혁’ 워런, 제약·의료 개혁까지 추진

입력 2015-01-23 07:29
업데이트 2015-01-23 07: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월가·금융 개혁의 잔다르크’로 불리는 엘리자베스 워런(민주·매사추세츠) 상원의원이 이번에는 대형 제약회사 개혁 입법에 나서고 있다고 22일(현지시간) 미국 언론이 보도했다.

미국 민주당내 차기 대선 예비주자 가운데 한 사람인 워런 의원이 준비하는 제약회사 개혁법의 뼈대는 관련 법규을 위반한 제약회사들이 위반 정도에 따라 기초의학 발전 기금을 내놓도록 하자는 것이다.

즉 제약회사들이 법규를 위반해 정부에 범칙금을 내게 됐을 경우 향후 5년간 회사 수익의 일정 부분을 국립보건원(NIH)과 식품의약국(FDA)에 의학발전 기금으로 내놓도록 한다.

그러자 미국 언론은 워런 의원의 칼날이 “금융에서 제약으로 옮겨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워런 의원이 제안한 기금의 규모는 회사 수익의 1%다.

연방 예산 삭감으로 국립보건원과 식품의약국의 예산이 줄어 암, 심장병, 알츠하이머, 에볼라, 자폐증 등 미국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질병 관련 연구가 갈수록 어려워졌기 때문에 시급히 지원 재원을 마련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는 게 워런 의원의 생각이다.

이와 관련 워런 의원은 지난 21일 입법 관련 한 행사에서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연구과 신약 개발을 (정부와 민간이) 함께 하자는 게 법안의 취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대형 제약회사들도 자체 예산은 물론 민간 분야로부터의 지원을 받아 조성한 재원으로 중요 질병 관련 세계적인 치료약을 만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위런 의원은 콜레스테롤, 당뇨병, 천식 등과 관련한 혁신적 의약품을 개발한 제약사들은 엄청난 수익을 올리는 데 비해 암, 에이즈 등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질병과 관련한 공공 연구·지원 기금은 바닥이 났다고 우려했다.

이처럼 기금 고갈 상황에서 관련 연구를 시급히 지원하지 않으면 국가적 차원에서 이들 분야에 뛰어든 의료·과학 전문인력까지 잃게 되는 손실을 보게 된다고 워런 의원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