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방극장이 갈수록 독해지고 있다. 가장 인기 있는 드라마 장르는 ‘미드’(미국드라마‘)나 ’일드‘(일본드라마)가 아닌 ’막드‘(막장드라마)라는 우스개가 나올 만큼 자극적인 드라마가 TV를 점령하고 있다.
지난해 SBS ‘조강지처클럽’, KBS ‘너는 내 운명’에서 불기 시작한 통속극 열풍이 해를 바꾸며 강도를 더해가고 있는 것이다. ‘갈 데까지 갔다.’는 뜻의 ‘막장’을 넘어 이젠 그 끝이 어딘지 알지도 못한 채 내달리고 있는 TV드라마들. ‘막장 드라마’가 이토록 넘쳐나게 된 배경과 욕을 하면서도 채널을 고정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막장드라마 논란은 그동안 지적되어 온 한국 드라마의 고질적 병폐와 궤를 같이 한다. 소재의 다양성은 갖추지 않은 채 출생의 비밀, 불치병, 신데렐라 콤플렉스, 외도와 복수 등 몇가지 공식으로 수렴되는 뻔한 드라마는 국내 드라마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꼽혀왔다. 대안으로 스케일이 큰 대작이나 전문직 드라마 제작 붐이 일었고, 비약적인 성장을 일군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지난해 시작된 불황의 그림자는 제작자와 시청자의 입맛을 모두 바꿔놓았다. 제작사는 광고 시장이 축소되면서 시청률이 보장되지 않는 드라마에 거액을 투자하느니 상대적으로 적은 제작비로 확실한 효과를 보장받을 수 있는 통속극 카드를 다시 빼들었다. 어려운 작품을 느긋하게 감상할 여유가 줄어든 시청자들은 자극적인 드라마에서 답답한 현실의 탈출구를 찾았다.
●비슷한 소재 차별화 위해 극단적 설정
요즘 드라마들은 스토리의 현실성과 극적인 개연성은 뒷전으로 미룬 채 극단적인 구성과 노골적인 대사로 일단 시청자들의 눈길을 잡아두는 사례가 늘고 있다. SBS 일일드라마 ‘아내의 유혹’은 여주인공(장서희)이 전혀 다른 인물로 변신해 전남편을 파국으로 몰아넣는다는 황당한 줄거리에도 시청률 40%를 넘어섰고, MBC 일일연속극 ‘사랑해, 울지마’도 주인공 영민(이정진)과 파혼한 약혼녀 서영(오승현)이 갑자기 영민의 아이를 임신하고 유산하는 과정 속에서 시청률이 두 자릿수로 뛰었다. 외도와 복수를 소재로 한 KBS 수목드라마 ‘미워도 다시한번’도 1회부터 독한 장면으로 시선을 끌었다. 재벌가 여회장(최명길)이 아들의 따귀를 때린 앵커(박예진)를 데려다가 똑같이 복수하고 독설을 퍼부어 결국 무릎을 꿇게 한 것. 불륜과 배신을 주제로한 성인드라마는 아니지만, 시청률 30%를 넘긴 KBS ‘꽃보다 남자’도 지나치게 판타지를 자극하는 비현실적 스토리로 지적을 받고 있다. 재벌과 서민과의 신데렐라 스토리는 차치하더라도 잔디(구혜선)의 엄마가 딸을 재벌과 결혼시키고자 자존심도 버린채 혈안이 된 인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우리 사회의 황금만능주의를 극단적으로 보여준다.
이은규 한국TV드라마PD협회장은 “투자 축소, 기획력의 부재 속에서 일단 ‘잘 먹히는’ 소재를 반복하다보니 차별성을 주기 위해서라도 이전보다 더 세고 독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넉넉지 않은 자금으로 손님을 끌려면 ‘불량 식품’의 유혹에 빠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는 “드라마는 연속극에서 미니시리즈로, 시즌제 혹은 장르 드라마의 단계로 발전해왔는데, 이처럼 연속극 형태 이외의 장르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는 것은 드라마 산업의 후퇴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뚜렷한 컨셉트 가진 드라마의 부각?
다른 시각으로 접근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극단적인 성향이 강해진 것은 사실이지만, 드라마의 주요 요소 중 한 가지라도 뚜렷한 컨셉트를 보여줬기 때문에 성공했다는 것이다.
이재갑 MBC 편성본부장은 “시청률이 높다고 반드시 좋은 드라마는 아니지만, ‘아내의 유혹’은 빠른 전개와 흡인력 있는 줄거리, ‘꽃보다 남자’는 매력적인 캐릭터라는 확실한 컨셉트를 강조했기 때문에 시청자들을 끌어들인 것”이라면서 “수많은 전문직 드라마들이 직업 세계와 멜로의 중간에서 어설픈 줄타기를 하다가 외면받았던 것을 생각하면 충분히 이유 있는 선전”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주 5회 방송되는 ‘아내의 유혹’은 기존의 드라마보다 평균 세배 이상 빠른 속도로 전개되고 있다. 스토리의 허점을 지적하기도 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등 미니시리즈보다 빠른 속도감으로 한 회도 건너뛸 수 없게 하는 강한 중독성을 발휘하고 있다. ‘조강지처클럽’에 이어 ‘아내의 유혹’의 책임프로듀서를 맡고 있는 고흥식 CP는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내는 작가의 필력과 허구를 실제처럼 느껴지게 하는 배우의 노련한 연기력이 잘 맞아떨어졌다.”면서 “모든 드라마가 이런 방식으로 전개될 필요는 없겠지만, 느슨하고 불필요한 지점 없이 시청자들에게 호소력 있게 전달되는 것은 내용보다 형식에 치중해온 기존의 드라마 제작진이 한번쯤 반성해볼 대목”이라고 주장했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지난해 SBS ‘조강지처클럽’, KBS ‘너는 내 운명’에서 불기 시작한 통속극 열풍이 해를 바꾸며 강도를 더해가고 있는 것이다. ‘갈 데까지 갔다.’는 뜻의 ‘막장’을 넘어 이젠 그 끝이 어딘지 알지도 못한 채 내달리고 있는 TV드라마들. ‘막장 드라마’가 이토록 넘쳐나게 된 배경과 욕을 하면서도 채널을 고정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무엇일까.
꽃보다 남자 구혜선
하지만 지난해 시작된 불황의 그림자는 제작자와 시청자의 입맛을 모두 바꿔놓았다. 제작사는 광고 시장이 축소되면서 시청률이 보장되지 않는 드라마에 거액을 투자하느니 상대적으로 적은 제작비로 확실한 효과를 보장받을 수 있는 통속극 카드를 다시 빼들었다. 어려운 작품을 느긋하게 감상할 여유가 줄어든 시청자들은 자극적인 드라마에서 답답한 현실의 탈출구를 찾았다.
●비슷한 소재 차별화 위해 극단적 설정
요즘 드라마들은 스토리의 현실성과 극적인 개연성은 뒷전으로 미룬 채 극단적인 구성과 노골적인 대사로 일단 시청자들의 눈길을 잡아두는 사례가 늘고 있다. SBS 일일드라마 ‘아내의 유혹’은 여주인공(장서희)이 전혀 다른 인물로 변신해 전남편을 파국으로 몰아넣는다는 황당한 줄거리에도 시청률 40%를 넘어섰고, MBC 일일연속극 ‘사랑해, 울지마’도 주인공 영민(이정진)과 파혼한 약혼녀 서영(오승현)이 갑자기 영민의 아이를 임신하고 유산하는 과정 속에서 시청률이 두 자릿수로 뛰었다. 외도와 복수를 소재로 한 KBS 수목드라마 ‘미워도 다시한번’도 1회부터 독한 장면으로 시선을 끌었다. 재벌가 여회장(최명길)이 아들의 따귀를 때린 앵커(박예진)를 데려다가 똑같이 복수하고 독설을 퍼부어 결국 무릎을 꿇게 한 것. 불륜과 배신을 주제로한 성인드라마는 아니지만, 시청률 30%를 넘긴 KBS ‘꽃보다 남자’도 지나치게 판타지를 자극하는 비현실적 스토리로 지적을 받고 있다. 재벌과 서민과의 신데렐라 스토리는 차치하더라도 잔디(구혜선)의 엄마가 딸을 재벌과 결혼시키고자 자존심도 버린채 혈안이 된 인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은 우리 사회의 황금만능주의를 극단적으로 보여준다.
이은규 한국TV드라마PD협회장은 “투자 축소, 기획력의 부재 속에서 일단 ‘잘 먹히는’ 소재를 반복하다보니 차별성을 주기 위해서라도 이전보다 더 세고 독하게 만들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넉넉지 않은 자금으로 손님을 끌려면 ‘불량 식품’의 유혹에 빠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는 “드라마는 연속극에서 미니시리즈로, 시즌제 혹은 장르 드라마의 단계로 발전해왔는데, 이처럼 연속극 형태 이외의 장르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는 것은 드라마 산업의 후퇴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뚜렷한 컨셉트 가진 드라마의 부각?
다른 시각으로 접근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극단적인 성향이 강해진 것은 사실이지만, 드라마의 주요 요소 중 한 가지라도 뚜렷한 컨셉트를 보여줬기 때문에 성공했다는 것이다.
이재갑 MBC 편성본부장은 “시청률이 높다고 반드시 좋은 드라마는 아니지만, ‘아내의 유혹’은 빠른 전개와 흡인력 있는 줄거리, ‘꽃보다 남자’는 매력적인 캐릭터라는 확실한 컨셉트를 강조했기 때문에 시청자들을 끌어들인 것”이라면서 “수많은 전문직 드라마들이 직업 세계와 멜로의 중간에서 어설픈 줄타기를 하다가 외면받았던 것을 생각하면 충분히 이유 있는 선전”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주 5회 방송되는 ‘아내의 유혹’은 기존의 드라마보다 평균 세배 이상 빠른 속도로 전개되고 있다. 스토리의 허점을 지적하기도 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등 미니시리즈보다 빠른 속도감으로 한 회도 건너뛸 수 없게 하는 강한 중독성을 발휘하고 있다. ‘조강지처클럽’에 이어 ‘아내의 유혹’의 책임프로듀서를 맡고 있는 고흥식 CP는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내는 작가의 필력과 허구를 실제처럼 느껴지게 하는 배우의 노련한 연기력이 잘 맞아떨어졌다.”면서 “모든 드라마가 이런 방식으로 전개될 필요는 없겠지만, 느슨하고 불필요한 지점 없이 시청자들에게 호소력 있게 전달되는 것은 내용보다 형식에 치중해온 기존의 드라마 제작진이 한번쯤 반성해볼 대목”이라고 주장했다.
이은주기자 erin@seoul.co.kr
2009-02-09 2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