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가족 못 지킨 죄책감에 고립되는 자살유가족…그들 지킬 정책 펼쳐야”

“가족 못 지킨 죄책감에 고립되는 자살유가족…그들 지킬 정책 펼쳐야”

최영권 기자
입력 2019-11-18 22:28
업데이트 2019-11-20 13: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혜정 자살유가족 자조 모임 대표

이미지 확대
김혜정 자살유가족 자조 모임 대표
김혜정 자살유가족 자조 모임 대표
“자살유가족은 가족을 못 지켰다는 죄책감에 고립돼 또다시 자살 위기에 내몰립니다. 그런데도 국내 자살예방 정책은 유가족 목소리가 빠진 채 실효성 없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나도 9년 전 남편 잃은 자살유가족”

자살유가족 자조 모임 ‘자살유가족×따뜻한 친구들’ 김혜정(51) 대표는 ‘자살유가족의날’을 하루 앞둔 지난 17일 서울 마포구 망원동 한 카페에서 서울신문과 만나 이렇게 말했다. ‘자살공화국’ 오명을 가진 한국에서 자살유가족 문제는 피할 수 없는 사회문제다. 지난해에만 약 8만명(국내 자살자 1만 3216명·인당 유가족 6명 기준)의 자살유가족이 생겼다.

‘자살유가족×따뜻한 친구들’은 고립된 자살유가족을 사회로 이끌어 내자는 취지로 지난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자살유가족의날’ 행사를 열었다. 1999년 미국에서 시작된 ‘세계자살유가족의날’(매년 11월 셋째 주)을 옮겨 왔다.

두 아들을 둔 평범한 가정주부였던 김씨의 삶을 송두리째 바꾼 건 9년 전 남편의 죽음이었다. 자살유가족이라는 낙인은 김씨를 뼛속까지 고통스럽게 했다. 한 지인은 “아이들에게는 과로사나 심장마비라고 말해라. 자살이라고 하면 개죽음으로 알 것”이라는 거친 표현까지 쏟아냈다. 주변에선 “남편 죽음을 판다”는 뒷말까지 들려왔다.

●수사기관 강압적 태도에 또 상처

김씨가 자살유가족으로 경험한 국내 기관과 전문가의 감수성도 충격적이었다. 그는 “수사기관의 강압적인 태도가 유가족이 침묵하고 숨기 시작하는 계기”라고 비판했다. 자조 모임에선 관련 증언이 쏟아진다. 경찰은 자택에서 남편 시신을 끌어안고 우는 아내에게 대수롭지 않게 사망 원인을 묻는다.

전문가를 찾아가면 오히려 취조받는 상황에 놓여 유가족은 또다시 상처를 입는다. 김씨조차 남편 죽음의 정확한 이유를 알고 싶어 뒤늦게 전문가를 찾았지만 “정신이 어떻게 된 거 아니냐”며 타박을 받았다.

●유족들의 공감이 다른 유족들도 지켜

참다못한 자살유가족을 위해 직접 나선 김씨는 현재 자살예방 전문강사 및 자살예방 사회활동가로 일하고 있다. 그는 자살예방에 자살 유가족의 목소리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유가족이야말로 자살예방 행동지침에 가장 전문적”이라며 “현장에서도 유가족이 나서는 게 오히려 더 많은 이들의 공감과 회복을 이끌어 낸다”고 힘주어 말했다. 또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유가족이 다른 유가족을 지원하는 것이 가장 큰 치유 효과를 낸다”고 전했다. 김씨는 “자살예방 관련 입법 과정에 유가족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실질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정책을 함께 논의해 가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최영권 기자 story@seoul.co.kr
2019-11-19 1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