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은경의 유레카] 신종 전염병과 공포, 백신 개발 역사

[이은경의 유레카] 신종 전염병과 공포, 백신 개발 역사

입력 2020-02-24 22:44
업데이트 2020-02-25 02: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류는 두 발로 서기 시작했을 때부터 온갖 질병과 싸워 왔다. 때로 인류가 승리하기도 했으나 그 싸움은 지금도 진행 중이다.

100여 년 전, 그 싸움 중 하나에 전환점이 생겼다. 1919년 프랑스 과학자 알베르 칼메트와 카미유 게랭이 흔히 ‘BCG’라 부르는 결핵 백신 개발에 성공한 것이다. BCG는 1921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다. 1882년 독일의 과학자, 로베르트 코흐가 결핵균을 발견한 지 40여년이 지난 뒤였다. 다시 25년이 지난 1946년 미국의 과학자 셀맨 왁스만이 결핵 치료에 효과적인 항생제 스테렙토마이신을 개발했을 때 비로소 결핵은 치료 가능하고 그다지 두려워할 필요가 없는 병이 됐다.

백신, 치료제 개발 전까지 결핵은 매우 흔하지만 잘 낫지 않고 사망률도 높은 질병이었다. 결핵의 약 85% 정도는 폐에 발생하며 전형적인 증상은 피 섞인 가래가 나오는 기침, 오한, 식은땀, 체중 감소 등이다. 19세기까지 신선한 공기를 마시는 것 정도가 알려진 치료법이었기 때문에 결핵 요양병원이 생기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결핵으로 죽는 사람들이 정말 많았고 그중에는 작곡가 프레데리크 쇼팽, 작가 에밀리 브론테와 프란츠 카프카 같은 유명인들도 있었다.

결핵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은 극적인 변화를 보였다. 많은 19세기 낭만주의 작품에서 결핵 환자는 하얀 손수건에 선홍색 피를 토하면서 기침을 하는 창백한 연인으로 그려졌다. 이는 실제와 달랐는데, 자주 맞닥뜨리지만 이길 수 없는 상대를 대하는 작가들 나름의 방법이었다.

낭만으로 생각된 적도 있던 결핵과 달리 콜레라 같은 대유행 전염병은 사람들에게 공포였다. 1920년대 후반부터 콜레라 대유행이 아시아와 유럽 대륙을 휩쓸었다. 시간은 오래 걸렸지만 결국 1932년 초 영국에도 선박을 통해 콜레라 균이 들어왔다. 그리고 런던의 병원에는 콜레라 환자들이 밀어닥쳤다. 당시 의사들에게는 이렇다 할 치료법이 없었다. 사람들은 콜레라가 잠잠해질 때까지 런던을 떠나 있거나, 외출을 삼가거나, 자신들이 아는 모든 예방법을 동원했다. 기록에 따르면 그해 겨울, 런던에서 6500명 이상이 콜레라로 죽었다. 1853년의 런던 콜레라 대유형 때에도 같은 일이 반복됐다.

과학자들과 의사들은 콜레라와 싸울 방법을 열심히 찾았다. 그중 한 명인 의사 존 스노는 1853년 콜레라 환자들의 집을 하나하나 찾아 지도에 표시하는 방법으로 동네 식수원 펌프장이 문제라는 점을 깨달았다. 그의 노력 덕분에 콜레라의 전염 경로가 파악됐고 나중에 런던 하수도를 대대적으로 정비하는 결과를 낳았다. 별다른 해결책이 없던 시기에 이는 콜레라에 대항하는 거의 유일한 방법이었다.
이미지 확대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이은경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
우리는 지금 오래 알던 전염병들에 대처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새로운 전염병이 나타나고 겁에 질리고 대항할 방법을 찾는 노력은 반복된다. 10대, 20대에게 메르스와 코로나19는 할아버지 세대의 콜레라와 같다. 과학자와 의사들은 늘 그랬듯이 방법을 열심히 찾고 있다. 이들은 스노가 환자의 집을 일일이 찾아다닌 것처럼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이 있는 사람들 수십 명, 수백 명을 일일이 조사하거나 치료법을 찾기 위해 연구 중이다.

우리 보통 사람들은 전문가들을 믿고 그들의 조언을 따르면서 주변 사람들과 함께 일상을 살아내는 것, 그것이 최선이다.
2020-02-25 2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