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신년회견’인적쇄신’ 등 정국수습책 주목

朴대통령 신년회견’인적쇄신’ 등 정국수습책 주목

입력 2015-01-12 07:12
업데이트 2015-01-12 07: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근혜 대통령은 12일 오전 청와대에서 신년 내외신 기자회견을 열어 집권 3년차 국정운영 구상을 밝힌다.

박 대통령이 기자회견을 하는 것은 지난해 초 ‘신년구상 발표 및 내외신 기자회견’에 이어 두 번째다.

회견은 박 대통령이 정홍원 국무총리를 비롯한 각료들과 청와대 수석비서관 이상 참모진이 배석한 가운데 15분 정도 신년 구상을 발표하고 기자 15명 안팎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회견에선 박 대통령이 최근 불거진 국정 난맥상과 관련, 정치권에서 제기된 인적 쇄신론에 대해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에 가장 큰 관심이 모아진다.

지난해 말 정국을 뒤흔든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문건 파동 이후 여권에서조차 인적 쇄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분출한데다 지난 9일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항명성 사퇴’ 파동이 터지면서 쇄신 요구가 더욱 거세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견에서 제시될 수습책은 앞으로 정국을 가늠할 주요 변수가 될 전망이다.

하지만, 박 대통령이 이날 회견에서 구체적인 인적 개편안을 발표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만만치 않다.

이 경우 박 대통령은 국정 최고책임자로서 사과 혹은 유감 표명과 함께 인적 쇄신론의 필요성에 공감하고 여론을 귀담아듣고 있는 만큼 지켜봐 달라는 원론적인 수준의 메시지를 내놓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박 대통령이 올해 광복 70주년을 맞아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진전된 대북제안을 내놓을지도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회견에서 북한이 대화의 장으로 나올 것을 거듭 촉구하면서 이산가족 상봉 및 전면적인 생사 확인, 서신왕래나 수시 상봉행사, DMZ(비무장지대) 세계생태평화공원 등 교류·협력을 제안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줄곧 요구해온 5·24 조치 해제나 금강산 관광 재개 등과 관련해 ‘파격 제안’이 나올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한일정상회담 개최 문제, 북핵문제에 대한 한미일 3각 공조 등도 외교분야 정국구상의 주요 내용으로 다뤄질 전망이다.

이와 함께 박 대통령은 올해가 경제 재도약의 마지막 기회라는 점을 강조하면서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차질없이 이행하고, 노동·연금·공공기관·금융 등 4대 구조개혁을 강력히 추진하겠다는 의지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