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정의장, 선거구 획정안만 직권상정하는 건 불가”

與 “정의장, 선거구 획정안만 직권상정하는 건 불가”

입력 2016-01-01 05:23
업데이트 2016-01-01 05: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쟁점법안 처리 없인 선거법 개정안 본회의 못가”

새누리당은 1일 정의화 국회의장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산하 선거구획정위원회에 현행 의석비율(지역구 246석, 비례대표 54석)을 기준으로 올해 총선 선거구 획정안을 마련해 달라고 주문한 데 대해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확고히 했다.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우리 당론은 선거구 획정과 경제활성화법안, 노동개혁 5법의 동시 처리”라며 “획정안만 (국회의장이) 직권상정하는 것은 받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정 의장이 제시한 선거구 획정기준의 내용과 관계없이 쟁점법안 처리 없이는 선거구 획정에도 동의할 수 없다는 것이다.

조 원내수석부대표는 특히 “의장이 여야를 무시하고 혼자 선거구 획정안을 만든다면 (이를 반영한 공직선거법 개정안은) 국회 본회의에도 올라갈 수 없다”고 강조했다.

김용남 원내대변인도 통화에서 “쟁점 법안이 통과되지 않은 상황에서 선거만 치르겠다고 선거구 획정만 먼저 할 수는 없다는 것이 새누리당의 입장”이라며 “정 의장이 제시한 세세한 기준의 옳고 그름을 논할 단계가 아니다”고 말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이어 “기본적으로 246개 지역구 안은 농어촌 지역구의 대표성을 살리기에도 대단히 부족한 안”이라며 “정 의장이 제시한 기준은 부적절하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