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경제 어렵다며 할일 안하는 건 신세타령”

朴대통령 “경제 어렵다며 할일 안하는 건 신세타령”

입력 2016-01-05 15:07
업데이트 2016-01-05 15: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무회의 전 10분 티타임…朴대통령 “3일마다 결심하면 작심삼일 극복”참석자들 “작심우작심…작심백일·천일해서 노동개혁 지침 마련”朴대통령 “자기역사 만신창이 만들면 미래없어…‘너 못났다’말고 긍지 가져야”

박근혜 대통령은 5일 국회에서 노동개혁 및 경제활성화 법안 등이 처리되지 않는 점 등을 겨냥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도 안하면서 맨날 경제가 어렵다고 하면 어떡하느냐”며 “눈앞에 할 수 있는 것도 안 하는 것은 신세타령밖에 안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올해 첫 국무회의를 주재하기 전 국무위원들과 10분 동안 티타임을 갖고 이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한숨만 쉬고 어려우니까 어쩌니 하는 것은 쓸데없는 짓이다. 이법(노동개혁법)도 빨리빨리 이뤄질수록 (경제가) 더 (잘) 되고, 행정부가 더 노력을 배가해야지 한숨 쉬고 경제가 어렵다고 한탄하는 게 무슨 자랑이냐”면서 “지금이야말로 어려운 때일수록 더욱 할 수 있는 일부터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핵심법안의 국회 처리가 시급하다는 점을 강조하면서도 행정부에도 자신감을 갖고 올해 국정운영 목표 달성에 만전을 기해달라는 뜻을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읽힌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어려움이 많이 있어도 내공을 쌓는다고 생각해달라. 열심히 하면 반드시 이룰 수 있다. 우리가 좀 더 자신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자기 역사를 갈기갈기 만신창이 만들어 놓으면 (안되고), 역사라는 게 사실은 ‘역사 따로 개인 따로’가 아니라 자기의 일부다. 자기 혼을 형성하는 기본이 된다”며 “긍지도 자신감도 없는 나라는 미래가 없다. 못난이라는 나라에 무슨 미래가 있겠는가”라며 역사교과서 국정화의 당위성을 역설했다.

박 대통령은 “‘너 잘났다. 너 잘났다’ 하면 진짜 잘난 줄 안다는 농담이 있는데, ‘너 못났다. 너 못났다’고 해서 자기가 진짜 못난 것으로 아는 케이스가 되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새해 결심이 흔히 작심삼일이라 그러는데, 이것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은 3일마다 결심을 하면 된다”고 농담을 던지기도 했다.

이에 황교안 국무총리는 “작심삼일이라는 말도 있지만 일신우일신이라는 말도 있지 않느냐. 그러니까 작심우작심…”이라고 말해 좌중에 웃음이 터졌다.

이를 지켜보던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작년 이맘때 담배를 끊겠다고 말씀을 드렸을 때 (대통령이) ‘작심삼일이 안 되게 하라’고 하셨다. 지금도 지키고 있다. 지금도 피고 싶습니다만…”이라고 말하자, 박 대통령은 “대단하시다”고 화답했다.

김현숙 고용복지수석은 “고용부 장관이 힘드신데 (노동개혁) 지침도 잘 마련하시고, 작심삼일이 아니라 작심백일, 작심천일 해서 지금까지 왔다”고 말했고,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은 “결과가 잘 마무리돼야 모든 게 의미가 있다”고 답했다.

이에 박 대통령은 “아니다. 될 것이다. 이게 안되면 우리나라 미래가 없기 때문에 어떻게는 해낸다는 불같은 의지와 결심을 가지면 되게 돼 있다. 열정이 필요한 에너지”라고 격려했다.

박 대통령은 또한, 홍용표 통일부 장관이 “이태리의 피자 장인은 피자의 4개 요소가 밀가루, 물, 소금, 열정이라고 했다. 열정이 없으면....”이라고 언급하자 “안되죠”라고 받으며 티타임을 마무리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