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달 독립운동가에 ‘동제사’ 항일 3인조

이달 독립운동가에 ‘동제사’ 항일 3인조

문경근 기자
문경근 기자
입력 2022-06-30 22:06
업데이트 2022-07-01 01: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가보훈처는 30일 일제강점기 항일독립단체 동제사(同濟社)에 가입해 독립에 헌신한 김갑·한흥교·민제호 선생을 ‘7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 또 남아프리카공화국 제2전투비행대대를 ‘7월의 6·25 전쟁영웅’으로 소개했다.

동제사는 1912년 신규식 선생이 중심이 돼 중국 상하이에서 조직된 최초의 독립운동 단체다. 상하이 한인들의 단결과 젊은 독립운동가들의 교육을 위해 박달학원을 설립하기도 했다.

1889년 부산 동래에서 태어난 김갑 선생은 1909년 영남의 첫 비밀결사 조직인 대동청년단에 가입해 활동하다가 1917년 5월 상하이로 건너가 동제사에 합류했다. 한흥교 선생은 1885년 동래에서 출생해 1910년 오카야마 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고 1911년 중국 신해혁명 참여를 위해 상하이로 간 뒤 본격적인 항일운동에 뛰어들었다. 1890년 서울 종로에서 태어난 민제호 선생은 1913년 상하이로 망명해 동제사에 가입했다. 1929년까지 임시정부 대외 업무를 수행했다.

한편 남아프리카공화국 제2전투비행대대는 6·25 전쟁 중 최전방 기지에서 다수의 전과를 올린 공군 부대다. 이 부대는 전쟁 당시 부산 수영, 평양, 수원, 진해, 여의도, 횡성, 오산 비행장 등에 배치돼 작전을 펼쳤고, 연 병력 826명이 참전해 총 1만 2405회 출격했다.



문경근 기자
2022-07-01 2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