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방비 대책’ 잰걸음…與 취약계층外 확대 검토 vs 野 7.2조 에너지 지원금

‘난방비 대책’ 잰걸음…與 취약계층外 확대 검토 vs 野 7.2조 에너지 지원금

하종훈 기자
하종훈, 최현욱 기자
입력 2023-01-26 17:33
업데이트 2023-01-26 17: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뿐 아니라 여야도 부담 완화 대책 경쟁
주호영 “당정협의서 범위 확대 여지 논의”
전 국민 대상 지원엔 “쉽지 않다” 선 그어
김병민, 본지 보도 거론 “취약계층 어려워”
이재명 ‘에너지 고물가 지원금’ 지급 제언
소득 하위 30% 가구에 100만원 주면서
재원은 ‘횡재세’로...100% 지급도 찬성

이미지 확대
발언하는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
발언하는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 주호영(왼쪽)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6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난방비 폭탄’에 여론이 심상치 않자 정부뿐 아니라 여야 정치권이 26일 앞다퉈 국민 부담을 완화하는 대책 마련에 나섰다. 국민의힘은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지원 대책을 정부와 논의하는 것은 물론 적용 대상 확대도 검토할 방침이다. 더불어민주당은 7조 2000억원 규모의 ‘에너지 고물가 지원금’ 지급 방안을 제의하는 등 여야가 민생을 우선 챙기는 정책 정당의 면모를 부각하느라 비상이 걸렸다.

국민의힘은 취약계층 117만 6000가구를 대상으로 한 에너지바우처 단가를 현재 15만 2000원에서 30만 4000원으로 두 배 증액하는 정부 대책에 대해 다음 주 중으로 당정협의회를 열어 추가 대책을 논의하기로 했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CBS 라디오에서 “한정된 재원에서 (에너지 바우처 대상으로) 취약계층은 당연하고 그 이상 범위를 확대할 여력이 되는지 다음 주 당정 협의에서 의견을 듣고 방향을 잡으려고 한다”고 말했다. 주 원내대표는 ‘전 국민까지 (대상으로) 열고 검토하는 것인가’라는 질문에 “그렇게까지 가기 쉽지 않다”고 선을 그은뒤 “인상 폭이 실제 가격에 미치는 영향, 정부의 동원 가능한 재원, 효과 등을 듣고 방향을 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민주당이 꺼낸 추가경정예산안 카드에 대해서는 “어렵다”며 “예비비나 기타 전용할 수 있는 재원을 활용해 (정부가) 서민 부담을 줄여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특히 김병민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은 비대위 회의에서 ‘난방비 더 써도 더 추운 단열 빈곤층’ 제하의 보도<서울신문 1월 26일자 1면>를 거론하며 “체감 영하 30도 날씨에 서울 한 아파트 단지와 쪽방촌 외벽온도를 비교해보니 무려 22.8도의 차이가 난다고 한다”며 “혹한의 추위에 에너지 취약계층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주는 한 예”라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민주당 난방비 폭탄 긴급대책회의
민주당 난방비 폭탄 긴급대책회의 이재명(가운데)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6일 국회에서 열린 난방비 폭탄 민주당 지방정부·의회 긴급 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난방비 폭탄 민주당 지방정부·의회 긴급 대책회의’를 주재하며 7조 2000억원 규모의 ‘에너지 고물가 지원금’ 지급을 제안했다. 앞서 신년 기자회견에서 제시한 ‘30조원 긴급 민생 프로젝트’ 가운데 5조원의 핀셋 물가 지원금을 확대 적용하자는 내용이다.

같은 당 김성환 정책위의장은 “4인 가구 기준으로, 소득 하위 30% 가구에 100만원, 30∼60% 가구에 60만원, 60∼80% 가구에 40만원을 지급하면 전체 80% 국민에게 7조 2000억원의 지원금을 집행할 수 있다”며 “기초수급대상자 긴급한 지원은 별도로 하더라도, 서민·중산층에도 에너지 상황이 가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지원하자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저소득 가구일수록 고통이 큰 점을 감안해 지원금을 차등 지급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만약 정부가 보편적으로 100% 다 지급하겠다고 하면 우리는 환영”이라고 덧붙였다. 재원 마련을 위해 에너지 기업들의 과도한 영업이익에 대해 걷는 ‘횡재세’ 개념의 부담금을 걷는 방안도 재차 제시했다.

정부 에너지바우처 사업 확대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코로나 때는 117만 가구가 대상이었는데 이마저도 올해는 85만 가구로 대폭 줄였다”며 “난방비 폭탄이 올 것이라 예측을 못 했던 모양인데 동절기 에너지 바우처를 2배 늘려서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하종훈·최현욱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