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퇴 최대석 후임… 류길재ㆍ백승주 등 거론

사퇴 최대석 후임… 류길재ㆍ백승주 등 거론

입력 2013-01-14 00:00
업데이트 2013-01-14 11: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朴당선인 대북ㆍ통일정책 연구그룹..”연락받은 바 없다”

최대석 이화여대 교수가 13일 대통령직 외교통일분과 인수위원직에서 갑자기 물러난 가운데 후임 인선 여부가 관심을 끈다.

박 당선인이 최 교수 대신 후임 외교통일분과 인수위원을 임명할 지 여부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한 핵심 측근은 14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그에 대해 들은 바 없다”고 말했다.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후임 인선에 관계된 문제는 결정되는 대로 언론인들이 공정하게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그렇지만 인수위 안팎에서는 ‘박근혜 정부’의 대북ㆍ통일정책의 기조를 결정하는 중요한 자리라는 점에서 박 당선인이 최 교수가 물러난 자리를 공석 상태로 오래 두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이런 차원에서 최 교수와 함께 그동안 박 당선인의 대북ㆍ통일 정책을 연구해 온 외교안보그룹 인맥이 자연스럽게 거론된다.

류길재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와 홍용표 한양대 교수는 박 당선인의 대북 정책에 깊숙이 관여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두 사람 모두 박 당선인의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 회원으로 활동했다. 홍 교수는 지난 11일 외교국방통일 분과 실무위원으로 합류했다.

백승주 국방연구원 박사 역시 미래연 멤버로, 외교국방통일 전문위원으로 발탁됐다. 새누리당의 한 외교통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백 박사가 후임 인수위원으로 유력하다고 개인적으로 들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사자들은 일단 부인했다. 백 박사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전혀 연락온 것이 없다. 그럴 감도 안되고..”라며 “전문위원으로 급하게 합류해 실무적으로 도와드리는 역할 밖에 안하고 있다”고 말했다.

류 교수 역시 “연락받은 것 없다”면서도 “박 당선인의 대북ㆍ통일정책 핵심공약인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는 나도 참여해서 아는데 최 교수 한 사람이 만든 게 아니고 당선인의 철학을 반영해 여러 사람이 함께 만든 것인 만큼, 한 사람이 빠진다고 해 흔들릴 성격의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다만 이같은 반응을 두고 인사가 공식 발표되기 전에 미리 언론에 보도되는 것을 싫어하는 박 당선인의 인사 스타일을 감안한 것이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한편 윤창중 인수위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최 교수 사퇴와 관련, “사퇴와 관련해 소정의 절차를 밟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지만 구체적 언급은 하지 않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