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중 281일 ‘최악 가뭄’…광주·전남 역대 최장 기록

1년 중 281일 ‘최악 가뭄’…광주·전남 역대 최장 기록

김정화 기자
입력 2023-01-18 16:35
업데이트 2023-01-18 16: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가뭄에 저수율 떨어진 완도 금일 척치제
가뭄에 저수율 떨어진 완도 금일 척치제 8일 완도군 금일읍 척치제가 가뭄 장기화로 저수율이 떨어져 있다. 2023.1.8 뉴스1
지난해 남부지방은 반세기 중 가장 긴 가뭄에 시달린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청은 18일 발표한 ‘2022년 연 기상가뭄 발생 특성’ 분석 결과에서 남부지방 기상가뭄 발생일수가 227.3일로 관측을 시작한 1974년 이후 가장 길었다고 밝혔다. 특히 광주·전남 지역은 281.3일을 기록했다. 기상가뭄은 특정 지역 강수량이 평균 강수량보다 적어 건조한 기간이 일정 기간 이상 지속되는 현상을 뜻한다.

전국 기상가뭄 발생일수는 156.8일로 2015년(168.2일)에 이어 두 번째로 길었다. 중부지방 기상가뭄 일수는 81.7일로 긴 순서로 11번째에 해당했다.

남부지방 가뭄은 지난해 2월 하순 전남과 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시작됐고 4월 중순 경북까지 확대됐다. 3월 초순과 4월 하순 사이에는 일시적으로 충북과 강원에서도 기상가뭄이 발생했다.

지난 겨울과 봄 강수량이 평년에 비해 크게 적었던 탓에 지난해 5월 초순엔 전국적으로 기상가뭄이 확대됐다. 이후 중부지방에 비가 집중적으로 오면서 6월 하순부터 서울·경기, 강원 지역의 기상가뭄이 해소됐지만 남부지방은 연중 비가 가장 많이 내리는 여름에도 비가 오지 않아 가뭄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지난해 6~8월 중부지방 강수량은 941.3㎜로 평년 강수량(759.6㎜)보다 많았지만, 남부지방은 483.3㎜로 평년 강수량(704.0㎜)을 크게 밑돌았다. 중부지방과 남부지방 여름철 강수량 차가 458.0㎜나 됐는데 이는 1995년(536.4㎜) 이후 가장 큰 폭이었다.

지난해 여름 북태평양고기압이 동서로 발달하면서 중부지방에는 물폭탄이 쏟아진 반면 남부지방에는 충분한 비가 내리지 않아 가뭄이 지속된 것으로 기상청은 보고 있다.
김정화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