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백신만 믿다가… 또 ‘소 잃고 약치기’

구제역 백신만 믿다가… 또 ‘소 잃고 약치기’

입력 2015-01-07 00:16
업데이트 2015-01-07 03: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진천 돼지서 안성 소까지

지난달 충북 진천에서 퍼지기 시작한 구제역이 한 달여 만에 돼지에서 소로 옮겨 붙었다. 국내 최대 축산 지역인 경기 안성·용인까지 퍼졌다. 피해액만 3조원에 달했던 2010~2011년 최악의 구제역 파동이 재연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미지 확대
구제역, 안성 한우까지 뚫렸다
구제역, 안성 한우까지 뚫렸다 소 사육 농가로까지 구제역이 뻗쳤다. 6일 소 구제역이 발생한 경기 안성시 죽산면 이모씨의 농장에 출입통제선이 쳐져 있다. 지난해 발생한 구제역이 돼지에 이어 소에서도 발병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당국은 이 농가에서 구제역으로 판명 난 소 한 마리를 살처분했다.


이미지 확대
소에 대한 첫 구제역 확진 판정이 나온 경기 안성시 죽산면의 한 농가에서 6일 방역 당국 직원들이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소에 대한 첫 구제역 확진 판정이 나온 경기 안성시 죽산면의 한 농가에서 6일 방역 당국 직원들이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6일 경기 안성시 소재 농장의 소에 대해 구제역 확진 판정을 내렸다. 농식품부는 “해당 농장 47마리 중 1마리만 증상이 나타났고 면역이 잘 형성되지 않은 개체에서 한정적으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소는 항체 형성률이 97%에 이르는 만큼 다른 개체로 확산될 가능성은 적다”고 밝혔다.

방역 당국은 소, 돼지 농장에 백신 접종을 꾸준히 해 온 만큼 전국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낮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수도권에서 구제역이 확산되면 걷잡을 수 없다는 점에서 정부가 지나치게 낙관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안성은 150여 농가에서 돼지 29만여 마리, 1900여 농가에서 소 10만여 마리를 키우고 있다.

축산 농가는 불안해하고 있다. 확진 판정을 받은 안성 한우는 방역 당국의 관리 아래 예방 백신을 주사했는데도 불구하고 구제역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백신을 접종하고 항체가 형성됐더라도 강한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건강하지 못한 소나 돼지는 구제역에 걸릴 수 있다”고 말했다. 백신 접종이 곧 ‘구제역 청정’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얘기다.

전문가들과 농민들은 정부가 백신 효능을 과신해 구제역 재발을 자초했다고 비판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2011년 이후 소, 돼지에 구제역 백신 접종을 의무화했다. 이후 구제역 긴급행동지침을 개정해 살처분 규정을 완화했다. 이전에는 구제역이 걸린 농장에서 기르던 소, 돼지를 모두 예방적으로 살처분했지만 백신 접종으로 항체가 생긴 이후에는 증상이 확인된 가축만 죽이고 있다.

농민들과 전문가들은 백신 효과는 기대만큼 크지 않았고, 예방적 살처분도 이뤄지지 않아 구제역 바이러스가 퍼지고 있다고 지적한다.

실제로 지난 4일 구제역 확진 판정을 받은 경북 의성과 안동의 돼지는 항체 형성률이 각각 81%, 63%로 나타났다. 지난달 30일 구제역이 발생한 경북 영천 돼지의 항체 형성률은 38%에 불과했다. 백신을 놓지 않는 농가도 많다. 이준원 농식품부 차관보는 “구제역 발생 농가를 조사한 결과 항체 형성률 0%인 곳도 있었다”고 말했다.

농민들이 백신 접종을 기피하는 데는 이유가 있다. 백신을 놓으면 가축의 상품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전북에서 돼지를 1만 2000마리가량 기르는 한 농민은 “백신을 돼지의 목에 놓으라고 하는데 발버둥 치는 돼지에게 주사를 놓다가 상처가 나는 일이 많다”면서 “종기가 생기고 고름이 나서 제값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돼지 목살은 값이 비싼 인기 부위이기 때문에 백신 접종 부위를 돼지 엉덩이 등으로 바꿔야 한다는 것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목에다 주사를 놓는 이유는 돼지 몸에서 피하지방이 가장 적은 부위이기 때문”이라면서 “백신을 근육에 정확히 놓아야 효과를 볼 수 있는데 엉덩이에는 피하지방이 너무 많아 주사를 놔도 항체가 생길 가능성이 적다”고 설명했다.

박봉균 서울대 수의과 교수는 “겨울에는 구제역 바이러스가 잘 안 죽어서 소독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며 “정부가 구제역 확산을 막으려면 구제역이 발생한 농가에 대해 예방적 살처분을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2010~2011년 구제역에 걸려 살처분된 가축은 소 15만 864마리, 돼지 331만 8298마리 등으로 사상 최대였다. 살처분 보상금을 포함한 피해액만 2조 7383억원이었다. 이번에도 소의 구제역이 전국으로 확산될 경우 피해액은 급증할 전망이다. 정부는 가축을 살처분한 날의 시세를 기준으로 보상금을 준다. 예방적 살처분은 시세의 100%, 질병에 걸린 가축은 시세의 80%를 보상한다. 지난 5일 전국 축산 경매시장의 평균 거래가격은 돼지는 1마리(110㎏ 기준)당 37만원인 반면 소는 1마리(거세우, 700㎏ 기준)에 610만원으로 돼지의 16.5배였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5-01-07 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