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오만 감독 “이변 일으켜 한국 난처하게 하겠다”

<인터뷰> 오만 감독 “이변 일으켜 한국 난처하게 하겠다”

입력 2015-01-07 15:00
업데이트 2015-01-07 15: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폴 르 갱 감독 “일부 선수 부상 있지만 심각한 상황 아니다”

폴 르 갱(51·프랑스) 오만 축구 대표팀 감독이 한국과의 2015 호주 아시안컵 첫 경기를 앞두고 도전자로서 야망을 숨김없이 털어놓았다.

이미지 확대
밝게 웃는 폴 르 갱 오만 감독
밝게 웃는 폴 르 갱 오만 감독 2015 호주 아시안컵 조별리그 첫 상대인 오만의 폴 르 갱 감독이 7일 오후 호주 캔버라 디킨 스타디움에서 훈련을 준비하며 환하게 웃고 있다.
연합뉴스
르 갱 감독은 7일 호주 캔버라의 디컨 스타디움에서 연합뉴스 기자를 만나 “한국을 될 수 있는 한 많이 괴롭히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그는 오만의 구체적인 전력과 관련해서는 공개할 수 없다고 밝히고 오만이 파악한 한국의 약점을 물은 데 대해서도 침묵했다.

르 갱 감독은 다만 최근 비공개 평가전 때문에 오만 전력이 베일에 싸였다는 말에는 “참으로 잘 된 일”이라고 답했다.

그는 “한국이 한 수 위의 우승후보이지만 우리는 이변을 일으킬 수 있고 상대를 난처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오만은 2003년 아시안컵 예선에서 움베루트 코엘류 감독이 이끌던 한국을 3-1로 꺾는 파란을 일으킨 적이 있다.

울리 슈틸리케 감독이 이끄는 한국과 르 갱 감독의 오만은 오는 10일 캔버라 스타디움에서 A조 1차전을 치른다.

프랑스 출신인 르 갱 감독은 현역 시절 파리 생제르맹에서 1991∼1998년까지 뛰면서 248경기(16골)에 출전한 전문 수비수 출신으로 1990년대 프랑스 대표팀에서도 활약했다.

1998년 현역 은퇴 뒤 프랑스 프로축구 렌(1998∼2001년), 올랭피크 리옹(2002∼2005년), 파리 생제르맹(2007∼2009) 등에서 지휘봉을 잡았다.

르 갱 감독은 2002-2003시즌부터 3시즌 연속 리옹을 프랑스 1부리그 챔피언에 올려 놓으며 지도력을 인정받았다.

2009년 카메룬 대표팀 사령탑을 맡아 201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월드컵에 나섰지만 조별리그 탈락의 고배를 마신 뒤 경질된 르갱 감독은 2011년 6월부터 오만 대표팀을 이끌고 있다.

다음은 르 갱 감독과의 문답.

-- 전반적인 선수단 상황은 어떤가.

▲ 다 준비됐다. 몇몇 선수들 부상이 있지만 심각한 차질을 빚을 정도는 아니다.

-- 최근 수비수 자베르 오와이시(알 샤밥), 모하메드 무살라미(판자), 사드 수하일(알 오루바), 공격수 카심 사에드(알나스르) 등이 다쳤다고 보도를 통해 들었다. 부상자들은 어떤 상황인가.

▲ 몇몇은 경기를 뛸 상황이 아니다. 하지만 부상은 대회의 통상적인 일부라고 생각하고 감수해야 한다. 부상 같은 상황에 집착해서는 안 된다. 대신 뛸 수 있는 사람들의 자신감을 북돋아야 할 것이다.

-- 조별리그 첫 상대인 한국은 우승후보 가운데 하나로 꼽히고 있다. 첫 경기 어떻게 할 것인가.

▲ 우리가 참으로 어려운 조에 편성됐다. 한국, 호주와 (8강에 진출하는 조 1, 2위를 놓고) 경쟁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상대적 약체로서 이런 현실을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이변을 일으킬 수 있고 (경기 중에) 상대를 난처하게 할 수 있는 정도의 전력을 지니고 있다. 힘들겠지만 이런 면을 보여주려고 한다. 초반부터 결과를 예단하고 꼬리를 내리는 일 따위는 하지 않을 것이다. 총력전을 펼칠 것이다. 한국에 독일 분데스리가 선수가 있고 심지어 프리미어리그 선수도 있지만 우리가 계속 그들을 피곤하게 한다면 90분 동안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

-- 작년 11월 걸프컵 대회의 선전이 아시안컵으로 이어질까.

▲ 그때 좋은 경기를 했다. 4강에서 조금 실수를 해서 결승전에 올라가지 못했다. 이번 아시안컵에서 한국도 우리보다 전력이 훌륭하다고 본다. 그렇지만 계속 강조하듯이 결과는 경기가 끝날 때까지 아무도 모른다.

-- 오만이 조별리그를 통과할 가능성을 어느 정도 보고 있는지.

▲ 하나하나씩 조금씩 노력해갈 뿐이다. 첫 경기에 일단 집중해야 하고 그 뒤에 벌어지는 상황을 주시해야 한다. 경쟁국은 강하지만 결과는 속단할 수 없는 법이다.

-- 프랑스 리그의 명장이었다. 오만을 이끌고 아시안컵에 나오는 소감은 어떤가.

▲ 큰 대회에서 오만을 대표한다는 것은 영광이다. 하루하루 특권을 지니고 살고 있다고 생각한다.

-- 한국과의 조별리그 1차전에 어떻게 나설 것인가. 한국의 어떤 약점을 적극적으로 공략하려고 하는가.

▲ 그런 것은 얘기할 수 없는 부분이다. 죄송하다.

-- 오만이 전력을 계속 감춰왔다. 두 차례 평가전도 모두 비공개로 치렀다. 한국이 오만을 잘 모를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오만의 강점이 뭔지 설명해줄 수 있나.

▲ 그것은 참으로 잘 된 일이다. 우리 강점이 무엇인지는 얘기해줄 수 없다. 나는 개인적인 규범이 있는데 우리 팀 전력을 절대 외부에 얘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2011년부터 오만 대표팀을 맡아 4년째 조직력을 끌어올리고 있다. 지금 오만 대표팀이 부임 후 최고라고 할 수 있는가.

▲ 오만은 최근 5∼6년 전에 매우 강했다. 걸프컵을 우승한 적(2009년)도 있었다. 지금 대표팀은 세대교체를 해가는 과정을 밟고 있다. 나는 지금 우리가 그때보다 더 잘하고 있다고 본다. 충분히 야망을 품을 수 있을 것이다.

-- 조별리그 통과는 오만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

▲ 매우 놀라운 일일 것이다. 우리는 한국, 호주와 맞붙어야 한다. 8강에 간다면 그냥 잘한 것을 넘어 아주 대단한 쾌거가 될 것이다. 오만인들이 우리를 매우, 매우 자랑스러워 할 것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