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현서 나우뉴스부 기자
많은 이들은 팬데믹이 종식되면 모두가 일상으로 돌아가고, 황망하게 가족과 친구를 잃는 일이 더는 생기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다. 전 세계는 코로나19 바이러스만큼이나 혹은 그 이상으로 위협적인 기후변화의 공습에 이미 신음하고 있기 때문이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서는 지난달 25일부터 시작된 폭염 때문에 700여명이 돌연사했다. 이는 일반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사망자 수의 3배에 달한다. 미국 북서부 오리건주에서는 폭염 기간 95명이, 워싱턴주에서는 30여명이 사망했다.
이 도시들은 폭염기간 동안 대부분 40~50℃에 육박하는 불볕더위에 시달렸다. 온열질환자가 몰려들면서 일부 병원에서는 복도에서 환자를 응급 치료해야 하는 상황에 이르렀다. 수은주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으면서 산불도 이어졌다. 캐나다의 한 마을은 순식간에 번진 산불로 마을 전체가 아예 사라져 버렸다. 전문가들은 이 일련의 사건들이 모두 기후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입을 모은다. 가장 절망적인 것은 폭염 등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 현상이 코로나19 팬데믹을 능가하는 대재앙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전망이다.
지난달 23일 유엔 산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가 내놓은 보고서 초안에 따르면 지구 온도가 현 수준보다 0.4℃ 상승하면 전 인류 중 14%가 최소 5년에 한번씩 심각한 폭염에 노출될 것으로 예상됐다. 전문가들은 온도와 습도를 모두 반영한 습구 온도가 35℃를 넘어서면 건강한 성인조차 그늘 아래에서 무제한으로 식수를 제공해도 생존할 수 없다고 말한다. 실제로 2003년 서유럽에서 폭염으로 5만명 이상이 숨졌을 때, 습구온도는 20℃대 후반이었다.
문제는 세계 각국이 탄소중립을 실현한다 해도 수십 년간 기온 상승을 막기는 역부족이라는 사실이다. 2015년 체결한 파리 기후협약은 지구 온도 상승을 2℃ 아래로 제한하고 가급적 1.5℃를 넘지 않게 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러나 IPCC는 이 목표가 달성된다 할지라도,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동남아시아는 매년 적어도 30일의 폭염에 시달릴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기후변화가 코로나19보다 위협적이라는 주장도 있다. ‘총, 균, 쇠’와 ‘대변동’의 저자인 세계적 문화인류학자 재러드 다이아몬드 UCLA 교수는 지난해 6월 “기후변화는 코로나19 팬데믹 이상으로 사망자를 만들고 영구적인 피해를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며 기후변화가 질병 확산에 영향을 준다고 주장했다.
영국 이코노미스트는 미국과 캐나다의 살인적 폭염을 전하면서 “코로나19 대유행은 예상하지 못했지만 폭염 위기는 더 잘 예상할 수도 예방할 수도 있다”고 강조했다. 지금 당장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대응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면, 코로나19 팬데믹보다 더 끔찍한 현실과 마주할 것이 자명하다.
2021-07-0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