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 강창현 교수팀은 폐암 말기 상태로 별다른 치료법이 없는 58세 여성에게 뇌사자의 폐를 이식하는 방법으로 폐암치료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폐 이식은 주로 호흡부전증 만성폐질환자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종종 이뤄지고 있는 치료법이지만, 폐암환자에게 폐 이식이 시행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의료진은 주장했다.
의료진에 따르면 이번에 폐 이식을 받은 여성은 지난 2006년 폐암 1기 판정을 받고 폐 일부를 잘라내는 수술을 받았지만, 2007년 6월에 다시 폐암 4기 진단을 받았다.
이후 이 환자에게는 표적치료제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항암제가 투여됐지만, 폐 병변은 지속적으로 악화해 지난해 7월에는 아예 외부활동이 불가능한 처지가 됐다.
이에 의료진은 최후의 수단으로 폐 이식을 권유했고, 지난해 7월 장기구득기관을 통해 구한 뇌사자의 양측 폐를 이식하는 수술을 했다.
수술 후 8개월이 지난 현재 이 환자는 폐암의 재발이나 폐 기능 악화, 폐렴 등의 합병증 없이 잘 지내고 있으며, 일상생활과 외부 활동을 하는 데 큰 문제가 없다고 의료진은 설명했다.
강창현 교수는 “이번 치료법이 앞으로 일반화될 수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폐암치료의 새로운 방법이 시도됐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연 합 뉴 스
폐 이식은 주로 호흡부전증 만성폐질환자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종종 이뤄지고 있는 치료법이지만, 폐암환자에게 폐 이식이 시행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의료진은 주장했다.
의료진에 따르면 이번에 폐 이식을 받은 여성은 지난 2006년 폐암 1기 판정을 받고 폐 일부를 잘라내는 수술을 받았지만, 2007년 6월에 다시 폐암 4기 진단을 받았다.
이후 이 환자에게는 표적치료제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항암제가 투여됐지만, 폐 병변은 지속적으로 악화해 지난해 7월에는 아예 외부활동이 불가능한 처지가 됐다.
이에 의료진은 최후의 수단으로 폐 이식을 권유했고, 지난해 7월 장기구득기관을 통해 구한 뇌사자의 양측 폐를 이식하는 수술을 했다.
수술 후 8개월이 지난 현재 이 환자는 폐암의 재발이나 폐 기능 악화, 폐렴 등의 합병증 없이 잘 지내고 있으며, 일상생활과 외부 활동을 하는 데 큰 문제가 없다고 의료진은 설명했다.
강창현 교수는 “이번 치료법이 앞으로 일반화될 수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폐암치료의 새로운 방법이 시도됐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연 합 뉴 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