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하도시’에서 ‘과학벨트’까지

‘은하도시’에서 ‘과학벨트’까지

입력 2011-04-06 00:00
수정 2011-04-06 11: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치·지역·사회적 ‘핫 이슈’로 부상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이하 과학벨트)의 씨앗은 2005년 민동필 현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 등 과학·예술·인문학 교수들이 결성한 ‘랑콩트르(Rencontre;만남)’ 모임이 심었다.

당시 이들은 세계 일류 과학자들이 모여 자유롭게 토론하며 연구하는, 과학과 예술이 결합된 공간을 제안했다.

이 구상은 2006년 4월 당시 대선주자였던 이명박 서울 시장에게 ‘은하수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보고됐고, 랑콩트르도 2006년 9월 사단법인 ‘과학과 예술이 만나는 은하도시 포럼’으로 확대, 공식 출범했다.

2007년 8월 경선을 통해 이명박 후보가 한나라당 공식 후보가 된 뒤 이른바 ‘은하도시’ 개념은 산업·교육 등이 더해져 더욱 커지고 구체화했다. 마침내 같은 해 11월 한나라당은 일류국가비전위원회 과학기술분야 대표 공약으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를 확정했다.

이 대통령 당선 직후 2007년말 인수위에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태스크포스(TF)가 꾸려졌고, 이듬해 2월 인수위는 대통령에게 관련 보고서를 제출했다.

2008년 10월에는 교육과학기술부·지식경제부·국토해양부 등 관련부처들이 과학벨트 추진지원단을 만들고, 연말까지 14회에 걸쳐 관련 토론회, 정부출연연구소 간담회, 전문가 세미나, 공청회 등을 열어 의견을 수렴했다.

2009년 1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는 추진지원단이 제출한 과학벨트 종합계획을 심의·확정했고, 곧바로 다음달 정부는 과학벨트 특별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이후 과학벨트는 세종시 등 정치·지역간 이해 관계가 첨예하게 맞선 사안과 얽히면서, 사실상 표류하게 된다.

2009년 9월 정운찬 총리는 세종시 정부청사 이전에 반대 의사를 밝혔고, 2010년 1월 정부는 세종시 개념을 ‘행정중심복합도시’에서 ‘교육과학중심 경제도시’로 바꾸는 세종시 수정안을 발표했다. 이 수정안의 핵심이 과학벨트였다.

그러나 같은해 6월 결국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은 국회 본회의에서 부결됐다.

이어 12월 과학벨트 특별법은 국회를 통과했으나, 올해 초 이명박 대통령이 과학벨트 충청권 유치에 대해 “공약집에 있었던 것도 아니다”며 사실상 입지 관련 원점 검토를 시사하고, “(과학벨트는) 과학적 문제”라고 강조함에따라 충청권의 반발은 커지고 지역간 경쟁구도는 더욱 치열해졌다.

이처럼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과학벨트 입지는 7일 교과부 장관을 위원장으로 출범한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과학벨트위)가 평가·심의해 상반기 중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