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곳 접촉 중… 곧 결과 나와” OLED 분야 관심 여전 중공업
박용만 두산그룹 회장이 “전자 관련 기업 두 곳을 곧 국내외에서 인수합병(M&A)한다”고 밝혀 파장이 일고 있다. 주류·식품 회사에서 중공업·기계 그룹으로의 변신에 성공한 두산그룹이 전자·에너지까지 사업영역을 확대하는 것 아닌지 재계 및 관련 업계가 관심을 두고 있다. 박 회장은 지난 6일 경기 수원시 율전동 성균관대 자연과학 캠퍼스에서 개최한 두산그룹 채용설명회에서 “두산의 전자 파트도 자기 역량을 확보해서 인수 작업, 또는 제휴를 계속하고 있다”며 “(국내외에서) 두 개 정도의 기업에 대해 M&A를 추진하고 있는데, 곧 가시적인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M&A가 무르익었음을 내비쳤다.박용만 두산그룹 회장
해외로 눈을 돌리지 않아도 국내에도 M&A 대상은 얼마든지 있다. 최근 채권단 자율협약에 들어간 STX는 물론 대우조선해양 등도 M&A 예약대기 상태다. 두산은 M&A로 그룹의 옷을 갈아입은 기업이다. 박 회장의 M&A 발언이 있기 전에도 두산은 전자 분야의 역량 강화를 위해 올해 초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기업 노바엘이디 인수를 추진했지만 무산됐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OLED 분야에서 핵심 기술을 갖춘 기업을 물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에너지 플랜트 분야도 마찬가지다.
박 회장은 “우리가 역량을 갖출 수 있으면 우리가 하고, 역량을 갖추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리면 세계 M&A시장에 나가서 스피드를 올리기 위한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과거와 같은 식의 M&A에 속도를 내겠다는 의미다. 두산그룹은 2008년 이래 매출이 16%, 시가총액은 25%씩 매년 증가했다. 고속 성장 배경에는 M&A에 바탕을 둔 구조조정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박 회장은 “가업까지 매각한 과감한 M&A를 통한 성공적인 트랜스포메이션(변신), 국내에서 시도된 바 없는 글로벌라이제이션(세계화)이 우리 구조조정의 특징”이라고 말했다. 정확한 목적을 갖고 회사를 샀기 때문에 적중률이 높았다는 것이다. 117년의 역사를 가진 두산의 ‘젊은 회장’이 시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것이다.
김경운 기자 kkwoon@seoul.co.kr
2013-09-10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