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0대 취업자 수가 큰 폭으로 늘어나면서 청년들의 일자리를 빼앗고 있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세대 간 갈등의 골이 깊어지면서 취업난으로 어려움을 겪는 20대들이 아버지 세대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는 모습입니다.
하지만 50대의 고용 증가는 40대들이 나이를 먹어가며 자연스럽게 50대로 이동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습니다. 기획재정부가 10일 발표한 ‘최근 50대 고용동향 특징 및 시사점’이라는 연구보고서 내용입니다. 50대 취업자가 증가한 원인을 꼼꼼히 살펴보니 ‘베이비부머’(1955~63년생)들이 본격적으로 50대에 진입하며 일어난 착시 현상이라는 설명입니다.
늘어난 취업자에서 50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1998~2002년 18.3%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2003~2007년 78.8%로 뛰더니 2008~2012년 101.0%까지 급등했습니다. 베이비부머가 2005년부터 50대로 접어들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세대들이 처한 고용 여건은 상당히 좋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50대 중후반 세대들의 명예퇴직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베이비부머들의 연령 이동 효과를 제외하면 50대 취업자 수는 오히려 2005년 이후 계속 줄었습니다.
기재부에 따르면 49세에서 50세로 이동한 취업자를 제외한 50대 취업자 수는 2005~2008년 5만 2000명, 2009년 14만 8000명, 2010~2012년 8만 5000명가량씩 줄었습니다. 경기 침체가 계속된 올 상반기에도 50대 취업자는 8만 4000명이나 줄었습니다.
베이비부머들이 60대로 접어드는 2015년부터는 50대 취업자 수도 상당히 줄어들 전망입니다. 60대는 50대와 달리 대부분 직장에서 은퇴하기 때문에 2015년 이후에 60대 취업자 수가 급증할 가능성은 없습니다. 베이비부머들의 일자리 문제는 나이가 들수록 더욱 심각해지는 실정입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늘어난 취업자에서 50대가 차지하는 비율은 1998~2002년 18.3%에 불과했습니다. 하지만 2003~2007년 78.8%로 뛰더니 2008~2012년 101.0%까지 급등했습니다. 베이비부머가 2005년부터 50대로 접어들기 시작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 세대들이 처한 고용 여건은 상당히 좋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경기 침체가 계속되면서 50대 중후반 세대들의 명예퇴직이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베이비부머들의 연령 이동 효과를 제외하면 50대 취업자 수는 오히려 2005년 이후 계속 줄었습니다.
기재부에 따르면 49세에서 50세로 이동한 취업자를 제외한 50대 취업자 수는 2005~2008년 5만 2000명, 2009년 14만 8000명, 2010~2012년 8만 5000명가량씩 줄었습니다. 경기 침체가 계속된 올 상반기에도 50대 취업자는 8만 4000명이나 줄었습니다.
베이비부머들이 60대로 접어드는 2015년부터는 50대 취업자 수도 상당히 줄어들 전망입니다. 60대는 50대와 달리 대부분 직장에서 은퇴하기 때문에 2015년 이후에 60대 취업자 수가 급증할 가능성은 없습니다. 베이비부머들의 일자리 문제는 나이가 들수록 더욱 심각해지는 실정입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3-09-1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