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가계로는 안가고 기업으로만 간다

돈, 가계로는 안가고 기업으로만 간다

입력 2013-09-11 00:00
수정 2013-09-11 13: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은행, 경제 주체별 통화 통계 첫 공개

시중의 돈이 가계로 흘러가는 속도가 점점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기업으로 들어가는 속도는 갈수록 빨라지고 있다.

11일 한국은행이 ‘통화 및 유동성’ 자료에서 처음 공개한 ‘경제주체별 통화통계’를 보면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보유한 시중통화량(M2)의 증가율은 7월 현재 2.5%(평잔·원계열)에 그쳤다.

반면 기업의 M2 증가율은 8.3%나 됐다. 가계의 3배를 훌쩍 넘긴 수준이다.

M2는 현금과 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예금인 협의통화(M1), 2년 미만 정기 예ㆍ적금, 머니마켓펀드(MMF) 등 시장형 상품을 포괄하는 유동성 지표다. 쉽게 요약하면 언제라도 결제자금화할 수 있는 현금과 금융자산을 의미한다.

가계와 기업의 M2 증가율은 지난해 6월까지도 각각 4.1%, 6.6%로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그러나 가계의 M2 증가율은 작년 12월 3%대로 떨어지더니 올해 6월엔 2%대로 반 토막이 났다.

반면에 기업의 M2 증가율은 작년 11월 4.4%로 잠시 주춤했지만 올해 1월 6%대로 뛰더니 2월 7%대, 5월 8%대를 돌파하며 가계와의 차이를 벌렸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M2가 모든 금융자산을 포괄하는 것은 아니지만, 새로 창출되는 부가가치 중 기업의 몫이 커지고 가계의 몫이 작아지는 추세를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기업이익 중 근로자 임금으로 돌아가는 몫을 보여주는 노동소득분배율은 2006년 61.3%에서 2010년 58.9%로 내려간 뒤 회복을 못 하고 있다.

여기에 경기 부진에 따른 가계의 소비위축, 기업의 투자유보 등도 가계와 기업의 M2 증가율 차이를 확대하는 데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은 관계자는 “현재는 자료의 시계열이 충분하지 않아 특별한 해석이나 평가를 하기는 어렵다”는 견해를 보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