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시간 ‘스카이UHD’ 개국…안테나·셋톱박스만 있어도 전국에서 고화질 시청 가능
초고화질(UHD) 방송시대가 성큼 다가왔다. KT스카이라이프는 2일 국내 최초로 전국단위 UHD 방송 송출을 시작했다. 위성 기반이라 따로 케이블을 깔지 않아도 안테나와 셋톱박스만 있으면 독도나 마라도는 물론 북한 전역에서도 시청할 수 있다. UHD방송은 HD방송보다 화질이 8~16배 뛰어나며 송출 영상의 화소는 800만~1600만개에 달한다.2일 서울 양천구 목동 KT체임버홀에서 열린 ‘스카이UHD’ 개국 기념식에서 윤종록(왼쪽부터) 미래창조과학부 제2차관, 황창규 KT 회장, 이남기 KT스카이라이프 사장, 허원제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 등 참석자들이 채널 송출 버튼을 누른 후 박수로 개국을 축하하고 있다.
KT스카이라이프 제공
KT스카이라이프 제공
다만 아직은 콘텐츠 부족으로 4시간 분량 방송을 하루 6번 반복해서 송출한다. KT스카이라이프는 연내에 230시간 분량의 UHD 전용 콘텐츠를 확보해 채널을 정상화하고 10만원대 보급형 셋톱박스를 출시해 상용화할 계획이다. 또 2015년까지 UHD 방송채널 수를 3개로 늘리고 102억원을 투자해 스튜디오 및 편집시설을 확충하기로 했다.
UHD 전용 셋톱박스는 우선 시골 노인회관과 도시 대형 가전매장 50여곳에 설치됐다. 강원 철원 상노2리 노인회장인 홍문섭(70)씨는 “UHD 채널을 보니 예전에 흑백TV가 컬러TV로 바뀔 때가 생각난다. 화면에 들어가서 만져 보고 싶을 정도”라고 말했다. 경기 화성 제부리 이장 최호균(62)씨도 “눈으로 보기에 아까운 제부도의 자연을 있는 그대로 전국에 보여줄 수 있게 됐다”고 기뻐했다.
이남기 KT스카이라이프 사장은 “내년에는 TV 교체 등으로 UHD TV가 상당히 팔릴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2018년 동계올림픽 때에는 UHD 방송이 꽃을 피울 것”이라고 강조했다. 글로벌 UHD TV 판매량 전망(디스플레이서치)을 보면 지난해 160만대에서 올해 1230만대, 2015년 3000만대, 2016년 6000만대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3년 내에 세계 시장에서 팔리는 TV 4대 중 1대가 UHD TV가 될 것이라는 계산이 나온다.
주변 산업에도 큰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전자정보기술산업협회는 2018년까지 전 세계에 6733만대의 UHD 전용 셋톱박스 수요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현재 KT스카이라이프 셋톱박스는 삼성전자와 LG전자 두 곳에서 만들고 있다. 또 올해 1000억 달러(약 102조원) 규모인 글로벌 방송장비 시장에도 향후 상당한 교체수요 발생으로 호재가 기대된다.
이날 기념식에는 이 사장 외에 황창규 KT 회장, 허원제 방송통신위원회 부위원장, 윤종록 미래창조과학부 차관, 이경식 삼성전자 부사장, 신태기 LG전자 미디어연구소장 등이 참석했다. 황 회장은 “분명한 것은 미래는 인간의 가치와 편리성을 향상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면서 “UHD 방송채널의 개국으로 소비자들의 삶의 질이 한층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4-06-0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