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아시아 주요국 중 한국의 주가 상승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4일 코스피는 2,056.26으로 마쳐 지난해 말보다 2.2% 올랐다.
정부가 새 경제팀을 구성하고 경기 부양에 본격 나서면서 지난 7월 이후 코스피는 2,000선을 계속 웃돌고 있다.
그러나 다른 아시아 주요국 주가 상승과 비교하면 그 폭은 작은 편이다.
올해 들어 4일까지 인도 뭄바이지수가 27.9% 오른 것을 비롯해 필리핀 PSE지수 22.3%,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종합지수 21.8%, 태국 SET지수 21.6% 각각 올랐다.
또 같은 기간에 대만 가권지수 9.5%, 중국 상하이종합지수 9.0%, 홍콩 항셍지수 8.5%, 싱가포르 스트레이트타임스지수가 5.6% 상승했다.
한국의 코스닥지수 올해 상승률이 13.8%에 달해 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하면 중간 수준이다.
일본의 닛케이평균주가는 3.8% 하락해 다른 신흥국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아시아 신흥국 주가가 많이 오른 것은 달러 강세와 유럽의 경기둔화 우려에 미국과 유럽의 유동성이 많이 유입됐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6일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4일 코스피는 2,056.26으로 마쳐 지난해 말보다 2.2% 올랐다.
정부가 새 경제팀을 구성하고 경기 부양에 본격 나서면서 지난 7월 이후 코스피는 2,000선을 계속 웃돌고 있다.
그러나 다른 아시아 주요국 주가 상승과 비교하면 그 폭은 작은 편이다.
올해 들어 4일까지 인도 뭄바이지수가 27.9% 오른 것을 비롯해 필리핀 PSE지수 22.3%,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종합지수 21.8%, 태국 SET지수 21.6% 각각 올랐다.
또 같은 기간에 대만 가권지수 9.5%, 중국 상하이종합지수 9.0%, 홍콩 항셍지수 8.5%, 싱가포르 스트레이트타임스지수가 5.6% 상승했다.
한국의 코스닥지수 올해 상승률이 13.8%에 달해 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하면 중간 수준이다.
일본의 닛케이평균주가는 3.8% 하락해 다른 신흥국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아시아 신흥국 주가가 많이 오른 것은 달러 강세와 유럽의 경기둔화 우려에 미국과 유럽의 유동성이 많이 유입됐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