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신년사 ‘커닝’ 논란

[경제 블로그] 신년사 ‘커닝’ 논란

유영규 기자
유영규 기자
입력 2017-01-04 22:40
수정 2017-01-04 23: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같은 뜻 ‘침과대적’ ‘침과대단’…금감원·예보 “우리가 먼저 썼다”

새해 벽두부터 금융계에 때아닌 커닝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신년사 때문인데요.

이미지 확대
공교롭게도 올해 신년사에서 진웅섭 금융감독원장은 ‘침과대적’(枕戈待敵)을, 곽범국 예금보험공사 사장은 ‘침과대단’(枕戈待旦)이란 사자성어를 들어 한 해의 조직이 나갈 마음가짐을 밝혔습니다. 끝에 한 글자가 다르긴 해도 사실 같은 뜻의 사자성어입니다. ‘창을 베고 자면서 아침(旦) 또는 적(敵)을 기다린다’라는 의미로, 위기에 대비해 항상 전투태세를 갖추는 군인의 자세를 강조한 겁니다. 중국 진나라 때 친구 사이이자 맞수인 장수 유곤과 조적이 밤늦도록 함께 국가의 안위를 걱정한 이야기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신년 사자성어가 겹치는 것은 흔치 않은 일인데요. 금감원과 예보는 서로 “우리가 먼저 창 베고 누웠다”며 ‘원조’라고 주장합니다. 한 금감원 간부가 신년회 등에서 예보 임원을 만나 “우리를 베낀 것 아니냐”고 농반진반 공격하자 예보 임원이 “(신년사) 외부 배포는 우리가 먼저였다”고 응수했다나요.

공교롭게 조용병 신한은행장과 이동걸 산업은행회장도 이번에 ‘승풍파랑’(乘風破浪)을 똑같이 들고나왔습니다. 파도가 거칠어도 바람을 타고 앞으로 나가자는 뜻이지요.

따지고 보면 사자성어에 원조가 어디 있겠습니까. 다들 수천년 전 중국의 고사 등을 빌려 쓰는 입장이니 말입니다. 오히려 눈길을 끄는 것은 올해 신년사에는 하나같이 비장함이 어려 있다는 점입니다. 명량해전을 앞둔 이순신 장군의 말을 빌린 임종룡 금융위원장의 ‘상유십이’(尙有十二·내겐 아직 12척의 배가 있다)도, 최선의 노력을 주문하는 유일호 경제부총리의 ‘마부작침’(磨斧作針·도끼를 갈아 바늘을 만든다)도 같은 맥락입니다. 그만큼 2017년이 녹록지 않다는 방증입니다.

다들 불확실성과 위기를 말하는 정유년입니다. 올 연말에는 “함께 창을 베고 누워 준 민간 기업 덕에 올 한 해 높은 파도를 잘 넘었다”는 경제부총리 종무식 연설을 들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2017-01-0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