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美공장 반도체뿐 가전은 없어…조성진 LG부회장 “상반기 결정 IoT 사업 위해선 스마트폰 필수”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미국 본토에 생활가전 공장을 짓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中 화웨이 휴대전화 ‘메이트9’ 살펴보는 조성진 LG전자 부회장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세계가전전시회(CES)에서 조성진(왼쪽 두 번째) LG전자 부회장이 중국 화웨이 전시관을 찾아 휴대전화 ‘메이트9’을 살펴보고 있다.
라스베이거스 연합뉴스
라스베이거스 연합뉴스
삼성전자 관계자는 8일 “트럼프 정부가 들어선 이후 관세 위협 가능성에 대비해 대응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봤다”면서 “미국 현지 가전 공장 건설을 비롯한 여러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미국 텍사스주에 반도체 공장이 있을 뿐 가전 공장은 없다. 미국에 수출하는 TV 수출 물량 대부분은 멕시코 티후아나 공장에서 생산된다. 냉장고 등 가전 제품은 멕시코 게레타로 생산기지에서 만들고 있다.
다만 미국 본토에 공장을 운영하는 것은 생산성을 비롯해 복잡한 계산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종합적으로 살펴본 뒤 추후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북미 지역 매출은 전체 매출의 3분의1을 차지한다.
LG전자도 테네시주 등 한두 곳을 공장 후보지로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성진 LG전자 부회장은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가전전시회(CES) 2017’ 현장에서 미국 현지 첫 생활가전 공장 건설 가능성을 내비쳤다. 조 부회장은 “미국이 현지 제조업체에 ‘페이버’(혜택)를 주게 되면 수입 판매업자는 불이익을 당할 수밖에 없다”면서 “넋 놓고 있을 수 없으니 어디까지 현지화를 해야 할지 검토하는 단계”라고 말했다. 그는 “80% 정도는 정리가 된 상황”이라면서 “올해 상반기 중에는 결정하겠다”고 덧붙였다.
조 부회장은 LG전자의 스마트폰 사업 축소설에 대해서는 “로봇·스마트홈 사업을 위해서라도 스마트폰 사업은 반드시 해야 한다”고 일축했다.
조 부회장은 또 “로봇이나 사물인터넷(IoT) 사업으로 수익을 내는 회사가 아직 없다고 로봇 사업에 대한 투자를 안 할 수는 없다”면서 “로봇 관련 제품 중 시판되는 로봇청소기, 잔디깎기에서 수익을 내 홈봇 등 미래 기술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초프리미엄 가전 ‘LG 시그니처’는 아시아, 중동, 중남미 등 신흥 시장으로 확대·출시한다. 이번 CES에서 선보인 ‘LG 시그니처 올레드 TV W’는 전시회의 공식 어워드에서 ‘최고상’을 받았다.
라스베이거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7-01-0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