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의 권오준 회장, KT의 황창규 회장, 우리은행의 이광구 행장이 최근 잇따라 연임에 성공했습니다. 이 기업들은 표면적으로는 민간 기업이면서도 최고경영자(CEO) 선임 때나 정권 교체기마다 ‘낙하산’ 논란으로 몸살을 앓았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습니다. 오랫동안 정부 소유로 있다가 민영화에 성공했지만 주인이 없다 보니 정부 관료 출신이 CEO로 오기도 하고 주요 보직에 낙하산 인사가 내려오는 일도 적지 않았죠. 업계에서는 이들의 연임과 정치 지형도가 향후 어떤 상관관계를 보일지에 주목합니다.
이들 CEO가 연임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성과가 좋았기 때문이라고 회사 측은 얘기합니다. 권 회장은 임기 동안 5조 8000억원의 재무 개선 효과를 거뒀고, 황 회장 역시 취임 첫해 적자를 기록했지만 그 다음해부터는 매년 1조원을 훌쩍 넘는 이익을 냈습니다. 이 행장 역시 우리은행 민영화라는 해묵은 과제를 해결하고 8000원대까지 떨어졌던 주가를 1만 3000원까지 끌어올리는 등 실적이 좋았다고 강조합니다.
한편에서는 탄핵 정국과 맞물려 마땅한 후임자를 찾지 못하면서 반사이익을 누린 것 아니냐는 시선도 있습니다. 임기 만료 수개월 전부터 차기 CEO 후보에 여러 이름이 오르내리곤 했는데 ‘최순실 사태’ 이후 이런 풍경이 사실상 자취를 감춘 것은 사실입니다.
연임에 성공했다고 해서 임기가 보장될지도 미지수입니다. 과거에 비춰볼 때 정권이 바뀌면 언제든지 바뀔 수 있는 자리라는 인식이 여전하기 때문이지요.
임기가 이미 지났거나 다 돼 가는데도 후임자를 찾지 못한 공공기관들도 있습니다. 김영학 한국무역보험공사(무보) 사장, 조환익 한국전력공사 사장, 이덕훈 한국수출입은행장 등이 그 예입니다. 무보는 임기 만료 거의 두 달 만에 지난주 후임 사장 공모를 냈습니다. 이달 말과 다음달 초 임기가 끝나는 조 사장과 이 행장 후임 인선은 아직 시작조차 못했습니다.
최근의 잇단 연임 행진을 보는 시선은 분분합니다. 다만 한 가지 공통된 시선은 더이상 정부의 입김이 아닌 능력 위주의 인사 원칙이 지켜지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는 것입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황창규 KT 회장.
이광구 우리은행장
연임에 성공했다고 해서 임기가 보장될지도 미지수입니다. 과거에 비춰볼 때 정권이 바뀌면 언제든지 바뀔 수 있는 자리라는 인식이 여전하기 때문이지요.
임기가 이미 지났거나 다 돼 가는데도 후임자를 찾지 못한 공공기관들도 있습니다. 김영학 한국무역보험공사(무보) 사장, 조환익 한국전력공사 사장, 이덕훈 한국수출입은행장 등이 그 예입니다. 무보는 임기 만료 거의 두 달 만에 지난주 후임 사장 공모를 냈습니다. 이달 말과 다음달 초 임기가 끝나는 조 사장과 이 행장 후임 인선은 아직 시작조차 못했습니다.
최근의 잇단 연임 행진을 보는 시선은 분분합니다. 다만 한 가지 공통된 시선은 더이상 정부의 입김이 아닌 능력 위주의 인사 원칙이 지켜지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는 것입니다.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