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관제시스템 탑재 ‘무궁화위성 7호’ 날다

국내 관제시스템 탑재 ‘무궁화위성 7호’ 날다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7-05-05 22:18
수정 2017-05-05 22: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 네 번째 방송통신위성 발사 성공, 7월부터 亞서비스…글로벌 영토 확대

우리나라의 네 번째 방송통신 위성인 ‘무궁화위성 7호’가 성공적으로 발사됐다. 우리나라 독자 기술로 개발된 관제시스템을 적용한 첫 번째 위성으로, 토종 위성 관제시스템의 상용화와 우리나라 위성의 세계 영토 확대라는 성과를 거두게 됐다.
EAP 연합뉴스
EAP 연합뉴스
KT의 위성 전문 자회사 KT SAT과 미래창조과학부는 4일 오후 6시 50분(현지시간·한국시간 5일 오전 6시 50분) 남미 북동부 대서양 연안의 프랑스령 기아나 쿠루우주기지에서 무궁화위성 7호를 발사했다고 5일 밝혔다. 무궁화위성 7호는 발사 후 37분 뒤인 4일 오후 7시 27분 로켓에서 성공적으로 분리됐다. 무궁화위성 7호는 한국시간으로 오는 15∼16일 정지궤도로 진입해 동경 114.5도에서 3주간 탑재중계기 궤도상 성능시험 등을 거친 후 동경 116도로 이동한다. 이어 7월 초부터 아시아 지역에서 고화질 방송과 위성 롱텀에볼루션(LTE) 통신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무궁화위성 5, 6호와 천리안위성을 포함해 총 4기의 정지궤도 방송통신위성을 보유하게 됐다.

무궁화위성 7호는 국내에서 개발한 지상관제시스템을 상용화한 첫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무궁화위성 7호에 탑재된 지상관제시스템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천리안 통신위성 개발 사업을 통해 확보한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에서 제작됐다. 지금까지 발사된 무궁화위성의 위성체와 발사체, 관제시스템은 모두 해외에서 조달해 왔지만, 관제시스템의 국산화에 성공하면서 수입 대체와 수출의 기반까지 마련하게 된 것으로 평가된다.

무궁화위성 7호는 프랑스 위성 제작사 탈레스 알레니아 스페이스가 제작하고 프랑스 다국적 상업 우수 발사업체인 아리안 스페이스가 발사를 맡았다. 국내 서비스에 주력한 무궁화위성 5, 6호와 달리 7호는 한국과 필리핀, 인도네시아, 인도차이나, 인도 지역으로 서비스 영토를 넓혔다. KT SAT은 올해 3분기 무궁화위성 5A호를 동경 113도 궤도에 발사할 계획이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7-05-06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