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이 낸 보험료 327조…민영보험시장 세계 7위

국민이 낸 보험료 327조…민영보험시장 세계 7위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17-12-31 19:46
업데이트 2017-12-31 23: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6년 수입 전년比 4.6% 늘어…車·연금 위주 손해보험 증가세

2016년 우리 국민이 민영보험과 공영보험, 공제사업 등으로 낸 보험료가 320조원을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민영보험의 시장 규모는 세계 7위로 전년에 비해 한 계단 올라갔다.

31일 보험개발원이 최근 발간한 보험통계연감에 따르면 2016년 한국의 전체 수입보험료는 327조 6192억원을 기록, 전년 대비 4.6% 증가했다.

보험통계연감은 생명·손해보험산업, 국민연금공단·국민건강보험공단·무역보험공사 등 7개 공영보험, 수협공제·새마을금고공제 등 12개 공제사업의 자료를 담고 있다.

업권별로는 생명·손해보험의 수입보험료는 204조 3103억원으로 전년보다 3.6% 늘었다. 공영보험·공제도 123조 3089억원으로 6.4% 증가했다.

민영보험에서는 손해보험의 증가세(5.6%)가 생명보험(2.2%)에 비해 두드러졌다. 손해보험은 자동차보험(11.3%)과 퇴직보험·연금(24.7%)이 전체 성장을 이끌었고, 생명보험은 퇴직연금(22.1%)과 종신보험(9.7%)이 호조를 보였다.

우리나라 민영보험의 시장 규모는 수입보험료 기준으로 1709억 달러로 세계 7위를 기록했다. 전년도 8위에서 한 계단 올랐다. 세계 시장 점유율은 3.61%였다. 미국이 1조 3524억 달러로 1위를 차지한 데 이어 ▲일본 4713억 달러 ▲중국 4661억 달러 ▲영국 3042억 달러 ▲프랑스 2376억 달러 ▲독일 2150억 달러 등의 순이었다. 국민 1인당 보험료인 보험밀도는 3362달러로 16위를 기록, 역시 전년도보다 한 계단 상승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수입보험료를 뜻하는 보험침투도는 12.1%로 세계 5위였다.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2018-01-01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