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처분 소득 19% 증가때 원리금 상환액 71% 급증
가계부채가 있는 가구의 최근 5년간 원리금 상환액이 가처분소득보다도 4배 빨리 불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국내 시장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 가계의 채무상환 부담은 한층 커질 것이란 우려가 높다.10일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부채보유 가구의 가처분소득은 연평균 4742만원으로 1년 전보다 2.5% 증가했다.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1년(3980만원)과 비교해 보면 19.1% 증가에 그쳤다. 원리금 상환액은 1518만원으로 저금리 여파로 1년 전보다 1.4% 감소했지만 역시 2011년(887만원)과 비교해 보면 무려 71.1%나 증가했다. 원리금 상환액 증가율이 가처분소득의 3.7배나 된다. 가처분소득은 소득에서 세금, 사회보험 등을 빼고 순수하게 쓸 수 있는 돈을 의미한다.
실제 가처분소득은 5년간 전년 대비 2∼5%대 속도로 늘었지만 원리금 상환액은 2016년을 빼고 13∼17%대로 꾸준히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했다. 가처분소득보다 원리금 상환액이 더 빠르게 증가하면서 부채보유 가구의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비율도 2011년 22.3%에서 2016년 32.0%로 상승했다. 부채가 있는 가구는 쓸 수 있는 소득의 3분의1을 고스란히 빚을 갚는 데 쓰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한국은행이 지난해 11월에 기준금리를 1.25%에서 1.50%로 6년 5개월 만에 인상했고 향후 미국의 금리 인상과 맞물려 가계의 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세종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8-01-11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