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자금 부채잔액 57조6천억원…예상보다 국민부담 줄어

공적자금 부채잔액 57조6천억원…예상보다 국민부담 줄어

김태이 기자
입력 2018-11-21 14:15
수정 2018-11-21 14: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공적자금 정기재계산…재정+금융권 부담금, 2002년 예상치의 84.2% 수준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당시 대규모로 투입됐던 공적자금의 남은 빚이 57조6천억원이다.

이 중 정부와 금융권이 부담해야 하는 남은 빚은 48조6천억원으로 나타났다.

현재 기준으로 공적자금을 상환하는 데 들어가는 재정과 금융권 부담액은 2002년 공적자금 상환계획을 처음 세웠을 때 예상한 금액의 84.2% 수준인 것으로 계산됐다.

금융위원회는 이와같은 내용으로 ‘2018년도 공적자금 정기 재계산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우리나라는 외환위기 당시 발생한 금융권의 대규모 부실을 정리하기 위해 1997년부터 2002년까지 총 159조원을 투입, 부실 금융기관을 사들이거나 파산한 금융기관의 빚을 대신 갚아주는 데 사용했다.

대부분 정부나 예금보험공사(예보), 자산관리공사(캠코)가 채권을 찍어내 마련한 돈이었다.

투입된 돈을 일정 부분 회수하고 부실 금융권도 정리된 후 2002년, 정부는 남은 공적자금 투입액을 계산했다.

그 결과 당시 투입했던 돈 중 97조2천억원을 더 회수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예보나 캠코가 가진 자산(우리은행 지분 등)은 당시 평가액 기준으로 28조2천억원에 불과했다.

결국, 남은 69조원은 2027년까지 정부가 국채를 발행하고 금융권이 매년 예금평균잔액의 0.1%를 특별기여금으로 내는 방식으로 갚아나가기로 했다.

또 5년마다 이 상환대책을 점검해 공적자금이 제대로 갚아지는지 점검하기로 했다.

그리고 올해 계산 결과 공적자금 남은 부채는 57조6천억원으로 나타났다.

이 중 약 10조원은 우리은행 지분 등 여전히 예보가 들고 있는 자산을 팔아 회수하고 나머지 48조6천억원은 재정과 금융권이 지금처럼 2027년까지 조금씩 갚아나가야 하는 돈으로 평가됐다.

이는 2002년 정부가 예상했던 재정과 금융권 부담금의 84.2% 수준이다.

윤상기 금융위 구조개선정책과장은 “2002년 계획 때보다 회수금이 많았고 이자비용도 줄어 재정과 금융권 부담금이 예상보다는 작아졌다”라며 “앞으로도 공적자금 회수를 차질없이 추진해 국민부담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