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OS시장 노리는 MS, 8조 들여 휴대전화 사업 인수
MS는 2014년 1분기까지 노키아 인수 작업을 마무리하고 노키아 주주와 규제 당국의 최종 승인을 거칠 예정이라고 2일(현지시간) 밝혔다. 노키아 이사회도 성명을 통해 “이번 거래가 노키아와 주주들에게 최선의 길이라고 믿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인수로 노키아 직원 3만 2000여명도 MS로 함께 옮기며, 스티븐 엘롭(50) 노키아 최고경영자(CEO)도 MS에서 기기 및 서비스 부문 부사장직을 맡는다.
이번 인수는 MS 출신인 엘롭이 노키아의 CEO를 맡으면서 어느 정도 예상된 시나리오였다. 엘롭은 2008∼2010년 MS에서 비즈니스 사업부 책임자를 지냈으며 2010년 노키아의 수장이 됐다. 이 때문에 정보기술(IT) 업계에서는 엘롭을 ‘트로이의 목마’로 부르며 MS의 노키아 인수를 기정사실화해 왔다.
피처폰(일반 휴대전화) 시대 ‘세계 1위’였던 노키아는 애플 아이폰 등 스마트폰 흐름에 적응하지 못해 어려움을 겪어 왔다. 엘롭 CEO는 직원 2만명 이상을 감원하고 지난 1월에는 배당금 지급을 보류하기도 했다.
MS가 ‘침몰하는 거함’ 노키아를 사들인 것은 애플, 구글과 마찬가지로 스마트폰 OS와 단말기를 함께 생산해 완성도 있는 제품을 내놓기 위해서다. 애플은 첫 아이폰 때부터 스마트폰 OS와 단말기 하드웨어를 함께 만들고 있고, 안드로이드 OS를 만드는 구글도 지난해 2월 모토로라(휴대전화 사업 부문)를 인수해 스마트폰 제조 역량을 쌓고 있다. 자신들이 만든 OS에 최적화된 ‘맞춤형’ 스마트폰을 직접 생산해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MS도 노키아의 생산 역량을 바탕으로 독자 OS인 ‘윈도폰’를 탑재한 보급형 제품들을 대거 선보여 시장점유율을 끌어올리는 동시에 프리미엄 제품도 주기적으로 내놓으며 ‘아이폰’, ‘갤럭시S’ 등에 도전장을 낼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이나 LG 등 국내 스마트폰 제조 업체들은 MS가 당장 의미 있는 점유율 반전을 보여 주지는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윈도폰’ OS의 시장점유율이 극히 낮은 데다 노키아와의 시너지 역시 크지 않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무용 OS인 ‘윈도’ OS와의 연계를 바탕으로 MS가 막대한 자금을 투입해 시장 장악에 나서면 ‘윈도폰’이 ‘제3의 모바일 OS’로 성장할 가능성 또한 열려 있다는 게 IT 업계의 분석이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강병철 기자 bckang@seoul.co.kr
2013-09-04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