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현재의 기가 와이파이(WiFi) 대비 데이터 용량을 2배로 늘리는 ‘2FA 기가 와이파이’ 기술을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 기술은 와이파이 통신에 사용하는 5㎓ 주파수 대역에서 80㎒ 대역폭 2개 채널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활용 가능한 데이터 공간을 2배로 확대하는 것이 골자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같은 서비스 지역(커버리지) 내에서 사용자 수용 범위가 2배로 늘어나 와이파이 사용자가 많이 몰리는 곳에서도 무선 데이터를 끊김 없이 빠른 속도로 이용할 수 있다.
그간 근접 채널을 동시에 사용하면 간섭 현상이 나타나 이러한 기술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것이 통설이었다. 그러나 필터 기술 도입 등 하드웨어 최적화를 통해 SK텔레콤이 세계 최초로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노트북, 스마트폰 등 802.11ac 지원 칩셋이 탑재된 단말이라면 소프트웨어 변경 없이 바로 와이파이 사용 환경 개선 효과를 누릴 수 있다.
SK텔레콤은 지난달부터 이용 환경 테스트 등을 진행 중이며 운영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보완해 이르면 올 하반기부터 상용화할 계획이다.
SK텔레콤 박진효 네트워크기술원장은 “2FA 기가 와이파이 등 차별화된 기술과 장비로 스마트폰 이용 고객에게 한차원 높은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앞으로도 고객 편의에 도움이 되는 신기술을 가장 먼저 개발해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 기술은 와이파이 통신에 사용하는 5㎓ 주파수 대역에서 80㎒ 대역폭 2개 채널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활용 가능한 데이터 공간을 2배로 확대하는 것이 골자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같은 서비스 지역(커버리지) 내에서 사용자 수용 범위가 2배로 늘어나 와이파이 사용자가 많이 몰리는 곳에서도 무선 데이터를 끊김 없이 빠른 속도로 이용할 수 있다.
그간 근접 채널을 동시에 사용하면 간섭 현상이 나타나 이러한 기술을 구현하기 어렵다는 것이 통설이었다. 그러나 필터 기술 도입 등 하드웨어 최적화를 통해 SK텔레콤이 세계 최초로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노트북, 스마트폰 등 802.11ac 지원 칩셋이 탑재된 단말이라면 소프트웨어 변경 없이 바로 와이파이 사용 환경 개선 효과를 누릴 수 있다.
SK텔레콤은 지난달부터 이용 환경 테스트 등을 진행 중이며 운영 결과를 토대로 문제점을 보완해 이르면 올 하반기부터 상용화할 계획이다.
SK텔레콤 박진효 네트워크기술원장은 “2FA 기가 와이파이 등 차별화된 기술과 장비로 스마트폰 이용 고객에게 한차원 높은 무선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겠다”며 “앞으로도 고객 편의에 도움이 되는 신기술을 가장 먼저 개발해 도입하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