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특화 안드로이드 플랫폼 대거 선봬

구글, 특화 안드로이드 플랫폼 대거 선봬

입력 2014-06-27 00:00
수정 2014-06-27 03: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자동차·입는 기기 등 생활 전반 연계

‘언제 어디서나 안드로이드.’

모바일 강자 구글이 모든 생활 영역에 공격적으로 ‘안드로이드 생태계’를 심는다.

구글은 25일(현지 시간) 열린 구글 개발자 회의에서 자동차를 위한 ‘안드로이드 오토’, 입는 기기를 위한 ‘안드로이드 웨어’, 스마트 TV를 위한 ‘안드로이드 TV’ 등 특화된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한꺼번에 선보였다.

기존 무대인 컴퓨터나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넘어 자동차, 입는 기기, 거실 등 생활 전반에 걸쳐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정착시키겠다는 움직임이다.

구글은 또 모바일용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크롬 OS 기반 노트북 ‘크롬북’, 클라우드 서비스인 ‘구글 드라이브’의 상호 연동성도 강화했다. 지난 5일 애플이 데스크톱용 OS인 ‘맥 OS X’, 모바일용 OS인 ‘iOS’, 클라우드 서비스 ‘아이클라우드’ 간의 연동을 강화한 것과 똑같은 방향이다.

이에 업계 관계자는 “구글과 애플을 필두로 사물인터넷 시대 플랫폼 선점 전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구글이 발표한 안드로이드 플랫폼들은 올해 하반기부터 차차 만나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안드로이드 TV는 오는 가을 타이완의 에이수스 등을 통해 첫선을 보일 예정이며, 안드로이드 오토는 현대·기아차, 아우디, BMW 등을 포함한 40여 자동차 업체와 공급 계약을 마치고 출격 대기 중이다.

한편 구글은 이날 신흥 시장을 겨냥한 저가 안드로이드 OS 단말기 ‘안드로이드 원’도 선보였다. 인도 등 신흥 시장을 겨냥한 제품으로 가격은 100달러 정도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4-06-27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2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