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임대단지 입주민들이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시행 중인 ‘카셰어링 플랫폼 서비스’(LH 행복카)에 전기차를 도입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박상우(왼쪽)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지난 27일 경기 남양주시 미리내 4-2단지에서 열린 전기차량 카셰어링 론칭 행사에서 입주민에게 행복카 무료 쿠폰을 전달하고 있다. LH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박상우(왼쪽)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지난 27일 경기 남양주시 미리내 4-2단지에서 열린 전기차량 카셰어링 론칭 행사에서 입주민에게 행복카 무료 쿠폰을 전달하고 있다. LH 제공
LH는 현재 전국 125개 임대단지에 LH 행복카를 제공하고 있다. 배치 차량은 총 181대, 이용 회원 수는 2만 8000여명이다. 이번에 도입되는 전기차는 르노삼성의 트위지 45대로, 수도권 23개 임대단지에 배치된다. 트위지는 전기차 전용 급속·완속 충전기가 없어도 일반 가정용 220V 콘센트에서 충전이 가능하다. 완전 충전 후 최대 주행거리는 80㎞로 이를 이용하는 입주민은 시간당 3000원의 이용료를 부담해야 한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2018-11-29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