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란이 정산을 지연하고 있으면서 유동성 문제를 겪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발란 제공
정산 지연으로 논란을 부른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이 당초 약속했던 정산금 지급 계획을 내놓지 못하게 됐다.
발란 창업자인 최형록 대표는 28일 입점사들에게 보낸 공지를 통해 “이번 주 안에 실행안을 확정하고 다음 주에 계획을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최 대표는 “창업자이자 대표이사로서 현재의 상황을 무겁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책임지고 해결하기 위해 밤낮없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며 “정산 문제 해소와 서비스 정상화를 위해 경영진과 주주들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외부 자금 유입을 포함한 구조적인 변화까지 가장 빠르고 안정적인 복원 시나리오를 실현하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번 주 안에 실행안을 확정하고 다음 주에는 여러분(판매자)을 직접 찾아뵙고 그간의 경위와 향후 계획에 대해 투명하게 설명해 드릴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기존 투자자들을 포함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협의와 동의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충분한 설명과 소통이 빠르게 이뤄지지 못한 점 너그러이 양해해달라”고 덧붙였다.
최 대표는 “이 플랫폼이 무너지면 온라인 명품 시장 전체의 신뢰까지 흔들릴 수 있다”며 “외부의 추측성 정보에 흔들리는 것은 불필요한 불안만 키울 뿐 아니라 실질적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는 말도 언급했다.
발란은 지난 24일 일부 입점사에 정산대금을 지급하지 못하면서 논란이 됐다.
당초 발란은 “일부 입점사에 정산금이 과다 지급되는 등의 오류가 발견돼 정산금을 재산정하고 있다”며 “28일까지는 입점사별 확정된 정산액과 지급 일정을 공유하겠다”고 공지했지만 이날까지도 이렇다할 뾰족한 방안을 제시하지 않았다.
입점사들은 “아예 정산을 받지 못하게 되는 것 아니냐”며 동요하는 분위기다. 제2의 티메프 사태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발란의 월평균 거래액은 300억원 안팎이며, 전체 입점사 수는 1300여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