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양은 증가하고 있지만 월세 이율은 떨어지고 있다. 전세를 월세로 돌리는 집주인이 늘면서 월세를 놓아 얻는 수익이 줄어들고 있다는 뜻이다.
국토교통부의 지난해 주택거래 통계에 따르면 전·월세 거래량은 137만 3172건으로 전년(132만 3827건)보다 3.7% 증가했다. 이 중 월세는 54만 388건으로 전년(45만 122건)보다 20%나 증가했지만 전세는 83만 2784건으로 전년(87만 3705건)보다 4.7% 줄어들었다.
임대시장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도 커졌다. 2011년 월세의 비율은 33.0%였으나 지난해에는 39.4%였다. 세입자 10가구 중 4가구는 월세를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통계는 보증금 보호를 받기 위해 확정일자인을 받은 것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일부 보증금을 내고 일부는 월세로 내는 것으로 봐야 한다. 임대료를 100% 월세로 내는 거래는 포함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실제 월세 비율은 이보다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집주인들이 전세보다 수익률이 높은 월세를 선호하면서 월세 전환이 빠르게 진행된 것으로 분석된다. 임차인으로서는 전세 물량 부족과 전세금 상승으로 선택의 폭이 줄어들어 월세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월세 이율은 동반상승하지 않고 있다.
월세 거래량과 가격이 상반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공급자(집주인)와 소비자(세입자)의 요구가 다르기 때문이다. 집주인은 수익성을 좇아 월세전환을 선호하지만 세입자는 임대료 부담으로 월세 계약을 꺼리고 있다. 이 과정에서 월세 물량이 상대적으로 늘어나 주택에 직접 투자한 자기자본에 대한 기대총수익률(임대수익+단위 보증금에 대한 기회비용)을 의미하는 전·월세전환율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전세는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가파른 가격 상승이 나타난 반면, 월세는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공급 과잉 현상이 나타나면서 전·월세전환율이 급격히 낮아지는 양상이다.
서울 아파트의 경우 전·월세전환율은 2003년 9.76%에서 지난해에는 6.12%로 떨어졌다. 하락 폭이 전년보다 0.88%포인트나 컸다. 전·월세전환율 연간 하락폭은 2009년 1%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아직은 시중금리보다 월세 수익이 좋지만 그래도 수익률은 10년 전보다 30% 정도 빠졌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중 저금리는 지속될 전망이어서 집주인들이 전세를 월세로 돌리려는 욕구는 사그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이에 따라 현재와 같은 임대차시장 환경에서는 전·월세전환율도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114 최성헌 책임연구원은 “월세 거래량 증가는 임차인의 주거형태 선호가 바뀐 것이 아니라 전세량 공급 부족으로 생긴 현상이기 때문에 전·월세 수급 불일치 현상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임대차시장의 불안이 당분간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집주인과 세입자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국토교통부의 지난해 주택거래 통계에 따르면 전·월세 거래량은 137만 3172건으로 전년(132만 3827건)보다 3.7% 증가했다. 이 중 월세는 54만 388건으로 전년(45만 122건)보다 20%나 증가했지만 전세는 83만 2784건으로 전년(87만 3705건)보다 4.7% 줄어들었다.
임대시장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도 커졌다. 2011년 월세의 비율은 33.0%였으나 지난해에는 39.4%였다. 세입자 10가구 중 4가구는 월세를 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 통계는 보증금 보호를 받기 위해 확정일자인을 받은 것을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일부 보증금을 내고 일부는 월세로 내는 것으로 봐야 한다. 임대료를 100% 월세로 내는 거래는 포함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실제 월세 비율은 이보다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집주인들이 전세보다 수익률이 높은 월세를 선호하면서 월세 전환이 빠르게 진행된 것으로 분석된다. 임차인으로서는 전세 물량 부족과 전세금 상승으로 선택의 폭이 줄어들어 월세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하지만 월세 이율은 동반상승하지 않고 있다.
월세 거래량과 가격이 상반 움직임을 보이는 것은 공급자(집주인)와 소비자(세입자)의 요구가 다르기 때문이다. 집주인은 수익성을 좇아 월세전환을 선호하지만 세입자는 임대료 부담으로 월세 계약을 꺼리고 있다. 이 과정에서 월세 물량이 상대적으로 늘어나 주택에 직접 투자한 자기자본에 대한 기대총수익률(임대수익+단위 보증금에 대한 기회비용)을 의미하는 전·월세전환율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전세는 공급이 부족해지면서 가파른 가격 상승이 나타난 반면, 월세는 수요보다 공급이 많은 공급 과잉 현상이 나타나면서 전·월세전환율이 급격히 낮아지는 양상이다.
서울 아파트의 경우 전·월세전환율은 2003년 9.76%에서 지난해에는 6.12%로 떨어졌다. 하락 폭이 전년보다 0.88%포인트나 컸다. 전·월세전환율 연간 하락폭은 2009년 1%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아직은 시중금리보다 월세 수익이 좋지만 그래도 수익률은 10년 전보다 30% 정도 빠졌다는 것이다.
하지만 시중 저금리는 지속될 전망이어서 집주인들이 전세를 월세로 돌리려는 욕구는 사그라지지 않을 전망이다. 이에 따라 현재와 같은 임대차시장 환경에서는 전·월세전환율도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114 최성헌 책임연구원은 “월세 거래량 증가는 임차인의 주거형태 선호가 바뀐 것이 아니라 전세량 공급 부족으로 생긴 현상이기 때문에 전·월세 수급 불일치 현상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임대차시장의 불안이 당분간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집주인과 세입자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류찬희 선임기자 chani@seoul.co.kr
2014-01-2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