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주택협회는 올해 초부터 지난달까지 회원사들의 분양실적을 집계한 결과 전국에서 4만8천707가구를 공급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만7천910가구)보다 28.5% 늘어난 수치다.
수도권 공급은 2만7천163가구로 지난해(1만6천223가구)보다 67.4% 늘어난 반면, 지방은 2만1천544가구로 지난해(2만1천687가구)보다 오히려 0.7% 줄었다.
지역별 공급은 경기가 1만5천198가구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1만1천445가구, 경북이 4천44가구로 뒤를 쫓았다. 이어 부산 2천998가구, 대구 2천978가구, 충남 2천181가구, 전남 1천954가구, 충북 1천772가구, 경남 1천482가구, 세종 1천456가구, 광주 1천410가구, 제주 622가구, 인천 520가구, 전북 382가구, 강원 265가구 등 순이었다.
사업 유형별로는 단순도급이 1만7천901가구, 재개발·재건축이 1만6천989가구, 자체분양이 9천915가구, 임대가 3천902가구였다.
협회 측은 실수요자들이 기존 주택보다 저렴한 신규 분양단지에 관심을 두면서 분양 여건이 호전됐고, 중대형 민간 아파트 청약가점제 폐지, 분양권 전매기간 단축 등 조치가 긍정적으로 작용해 공급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또 6·4 지방선거와 월드컵 개막을 앞두고 건설사들이 분양을 앞당긴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했다.
유인상 협회 상근부회장은 “최근 2·26 전·월세 임대소득 선진화 방안의 영향으로 주택거래가 줄어들고 있는데다 내수 부진까지 더해져 신규 분양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임대소득 선진화 방안 보완, 민영주택 수도권 1순위 청약자격 요건 완화 등 정부의 선제적인 대응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3만7천910가구)보다 28.5% 늘어난 수치다.
수도권 공급은 2만7천163가구로 지난해(1만6천223가구)보다 67.4% 늘어난 반면, 지방은 2만1천544가구로 지난해(2만1천687가구)보다 오히려 0.7% 줄었다.
지역별 공급은 경기가 1만5천198가구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1만1천445가구, 경북이 4천44가구로 뒤를 쫓았다. 이어 부산 2천998가구, 대구 2천978가구, 충남 2천181가구, 전남 1천954가구, 충북 1천772가구, 경남 1천482가구, 세종 1천456가구, 광주 1천410가구, 제주 622가구, 인천 520가구, 전북 382가구, 강원 265가구 등 순이었다.
사업 유형별로는 단순도급이 1만7천901가구, 재개발·재건축이 1만6천989가구, 자체분양이 9천915가구, 임대가 3천902가구였다.
협회 측은 실수요자들이 기존 주택보다 저렴한 신규 분양단지에 관심을 두면서 분양 여건이 호전됐고, 중대형 민간 아파트 청약가점제 폐지, 분양권 전매기간 단축 등 조치가 긍정적으로 작용해 공급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했다.
또 6·4 지방선거와 월드컵 개막을 앞두고 건설사들이 분양을 앞당긴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파악했다.
유인상 협회 상근부회장은 “최근 2·26 전·월세 임대소득 선진화 방안의 영향으로 주택거래가 줄어들고 있는데다 내수 부진까지 더해져 신규 분양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면서 “임대소득 선진화 방안 보완, 민영주택 수도권 1순위 청약자격 요건 완화 등 정부의 선제적인 대응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