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당 1611만원… 2위는 구로 우성5차
비강남권이 1위를 차지한 이유는 정부의 9·13 부동산 대책 이후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 상승세가 이어졌던 강남권 아파트값의 가격이 조정된 데 반해 9억원 이하 아파트는 대출 규제에서 벗어나 있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는 부동산114와 서울신문이 최근 1년간 ‘전국 매매 상승률 상위 주요 아파트’를 조사한 결과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이 두 번째로 높은 단지는 구로구 신도림동 우성5차(1994년 입주·154가구)다. 1년간 아파트 매매 시세가 36.2% 상승해 3.3㎡당 2262만원으로 조사됐다. 이어 34.7%(3.3㎡당 1928만원)가 뛴 은평구 불광동 라이프미성(1988년 입주·1340가구)과 32.5%(3.3㎡당 2200만원)가 오른 노원구 월계동 삼호3차(1986년 입주·1260가구) 아파트 순으로 집계됐다. 재건축 대상으로 가격 영향을 받은 경기 성남 태평동 선경태평아파트가 상승률 32.5%(3.3㎡당 1484만원)로 월계동 삼호3차와 공동 4위에 올랐다.
김은진 부동산114 리서치팀장은 “강남이 정부의 규제 타깃이 되며 상승세가 주춤했던 사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대출 규제에서 비켜나 있었던 9억원 이하 비강남권 아파트들이 뒤늦게 오름세를 타며 올해 초까지 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라고 비강남권 아파트들의 집값 상승 원인 이유를 분석했다.
지방에서는 광주, 대전의 상승률이 압도적이었다. 신규 공급이 워낙 적은 지역이어서다. 지방 아파트값 상승률이 1년간 가장 높았던 단지는 광주 남구 봉선동 금호2차로 상승률만 41.4%에 달한다. 1995년 설립된 이 단지는 총 602가구로 지금 3.3㎡당 1312만원이다.
이 외에도 ▲광주 남구 봉선동 라인광장 1차(3.3㎡당 846만원·385가구) ▲광주 광산구 월곡동 한성1차(3.3㎡당 660만원·780가구) ▲대전 유성구 관평동 대덕테크노밸리 10단지(3.3㎡당 1281만원·1001가구) ▲광주 서구 양동 금호 아파트(3.3㎡당 630만원·330가구)가 30~40% 오르며 상승률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김 팀장은 “대전과 광주 지역 아파트값 상승폭이 큰 이유는 비규제지역 효과와 신규 공급 부족에 따른 분양시장 호황으로 기존 아파트 가격이 동반 상승했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9-07-08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