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소확행’이라는 말이 자주 들린다.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작지만 확실한 행복이란 뜻이다. 불확실한 글로벌 환경에서 투자의 ‘소확행’은 단기 금융상품이라고 생각한다.
그중 위험을 조금 더 부담하더라도 시중금리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주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과 PF 유동화전자단기사채(ABSTB)는 저금리 시대의 목돈 투자처로 개인 자산가나 법인에게 꾸준하게 각광을 받을 전망이다.
그렇다면 PF ABCP와 PF ABSTB는 무엇일까. 이는 페이퍼 컴퍼니인 특수목적회사(SPC)가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등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운영하는 시행사에 대출을 해주고 그 대출을 담보로 기업어음을 발행한 것이다.
이처럼 구조는 같으나 만기와 투자금액은 다르다.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를 면제받기 위해 PF ABSTB는 대부분 3개월 이하, PF ABCP는 만기 1년 미만으로 발행된다. 특히 PF ABCP는 증권신고서 제출을 면제받으려면 투자자가 50인 미만이어야 하기 때문에 거래 단위가 상대적으로 크다.
물론 장기간 필요한 자금을 단기로 조달하다 보면 돈이 빠져나갈 때와 돈이 들어올 때가 어긋날 수도 있다. 사업 수익성과 만기에 원금을 상환할 수 있을지 평가도 쉽지 않다. 이 때문에 건설사나 증권사가 보증이나 자금 보충, 매입 확약이나 매입 약정 등 다양한 형태로 신용을 보강해 준다.
따라서 두 상품의 실질적인 신용등급은 프로젝트 자체 사업성보다 신용 보강을 해 주는 회사의 신용도에 좌우되는 편이다. 그에 따라 금리 수준, 기관투자자 비중 등도 달라진다. 상품 구조는 복잡해도 쉽게 투자할 수 있는 이유다.
최근 국내 부동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높지만 두 상품은 단기금융상품이므로 중장기보다 현재 재무 상태가 더 중요하다. 증권사보다 등급이 낮은 건설사는 2015년 이후 주택 시장이 호황을 타면서 재무안정성이 개선된 것도 긍정적이다. 대형 건설사에 타격을 주던 해외 사업도 준공이 진행돼 대규모 손실이 더 생길 가능성은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단 2019년부터 주택 공사 진행 물량이 줄어들 전망이고, 개별 건설사마다 상황도 달라 투자 전에 별도로 분석을 해야 한다.
그러나 두 상품 모두 장내 시장이 없고, 만기는 짧지만 거래 비용이 높아 수시로 매매하는 것이 쉽지 않다. 증권사의 신용위험이나 준거자산의 신용등급이 급변하면 손실이 투자자에게 돌아갈 수 있어 신용등급을 잘 따져 보고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B증권 광화문지점장(WM스타자문단)
그중 위험을 조금 더 부담하더라도 시중금리 대비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를 주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과 PF 유동화전자단기사채(ABSTB)는 저금리 시대의 목돈 투자처로 개인 자산가나 법인에게 꾸준하게 각광을 받을 전망이다.
그렇다면 PF ABCP와 PF ABSTB는 무엇일까. 이는 페이퍼 컴퍼니인 특수목적회사(SPC)가 아파트, 오피스텔, 상가 등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운영하는 시행사에 대출을 해주고 그 대출을 담보로 기업어음을 발행한 것이다.
이처럼 구조는 같으나 만기와 투자금액은 다르다. 증권신고서 제출 의무를 면제받기 위해 PF ABSTB는 대부분 3개월 이하, PF ABCP는 만기 1년 미만으로 발행된다. 특히 PF ABCP는 증권신고서 제출을 면제받으려면 투자자가 50인 미만이어야 하기 때문에 거래 단위가 상대적으로 크다.
물론 장기간 필요한 자금을 단기로 조달하다 보면 돈이 빠져나갈 때와 돈이 들어올 때가 어긋날 수도 있다. 사업 수익성과 만기에 원금을 상환할 수 있을지 평가도 쉽지 않다. 이 때문에 건설사나 증권사가 보증이나 자금 보충, 매입 확약이나 매입 약정 등 다양한 형태로 신용을 보강해 준다.
따라서 두 상품의 실질적인 신용등급은 프로젝트 자체 사업성보다 신용 보강을 해 주는 회사의 신용도에 좌우되는 편이다. 그에 따라 금리 수준, 기관투자자 비중 등도 달라진다. 상품 구조는 복잡해도 쉽게 투자할 수 있는 이유다.
최근 국내 부동산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높지만 두 상품은 단기금융상품이므로 중장기보다 현재 재무 상태가 더 중요하다. 증권사보다 등급이 낮은 건설사는 2015년 이후 주택 시장이 호황을 타면서 재무안정성이 개선된 것도 긍정적이다. 대형 건설사에 타격을 주던 해외 사업도 준공이 진행돼 대규모 손실이 더 생길 가능성은 낮아진 것으로 판단된다. 단 2019년부터 주택 공사 진행 물량이 줄어들 전망이고, 개별 건설사마다 상황도 달라 투자 전에 별도로 분석을 해야 한다.
그러나 두 상품 모두 장내 시장이 없고, 만기는 짧지만 거래 비용이 높아 수시로 매매하는 것이 쉽지 않다. 증권사의 신용위험이나 준거자산의 신용등급이 급변하면 손실이 투자자에게 돌아갈 수 있어 신용등급을 잘 따져 보고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B증권 광화문지점장(WM스타자문단)
2019-01-24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