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사활 건 ‘앱 전쟁’

은행들 사활 건 ‘앱 전쟁’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19-08-28 22:40
수정 2019-08-29 02: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우리은행, 상품 가입절차 대폭 축소
기업은행, 간편이체 한도 크게 늘려
저축은행중앙회, 새달 공동 앱 개편

은행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가입자 ‘1000만 시대’를 맞아 은행들이 앱 새 단장에 나섰다. 지난 5월 기업은행에 이어 우리은행도 이달 새 앱을 내놨고, 다음달엔 저축은행중앙회가 가세한다.

우리은행은 기존 메인 모바일 앱 ‘원터치 개인’을 대체하는 ‘우리원(WON)뱅킹’을 출시했다고 28일 밝혔다. 일단 두 앱을 모두 열어 두되 우리원뱅킹의 이용자가 늘어나면 기존 앱 서비스를 중단할 방침이다. 우리원뱅킹은 최대 11단계이던 상품 가입 절차를 5단계로 줄였고, 화면 구성도 항목들을 찾기 쉽도록 단순 형태로 바꿨다. 우리카드 사용 내역은 별도의 앱을 설치하지 않아도 한 번에 볼 수 있다. 개인에 따라 카드형과 리스트형 가운데 원하는 화면 구성을 고를 수 있다.

앞서 기업은행도 ‘아이원(i-ONE)뱅크’로 앱을 전면 개편했다. 7단계이던 이체 절차를 4단계로 줄였다. 공인인증서 대신 여섯 자리 비밀번호로 이용할 수 있고, 하루 300만원까지 가능하던 간편이체 한도도 5000만원으로 크게 늘렸다.

시중은행 외에 저축은행도 모바일뱅킹 시대에 발을 맞추고 있다. 79개 저축은행중앙회 회원사 가운데 67개사가 이용하는 앱 ‘SB톡톡’이 다음달 9일 새로 개편된다. 기존엔 조회나 이체, 예적금 가입을 하기 위해 앱 ‘저축은행 스마트뱅킹’을 깔거나 대출을 위해 저축은행별로 따로 앱을 설치해야 했다. 모바일뱅킹과 인터넷뱅킹도 따로 가입해야 했다. 그러나 다음달 9일부터 한 앱에서 모든 작업이 가능해진다. 새 앱 출시를 위해 다음달 7~8일 해당 저축은행 계좌를 이용한 모바일과 인터넷뱅킹이 중단될 예정이다.

이처럼 금융권이 앱을 새 단장하는 배경에는 편리한 모바일뱅킹이 고객을 부른다는 인식이 깔려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과거 은행은 지점을 평가하는 핵심성과지표(KPI)에 앱 관련 점수를 넣고 직원이 고객에게 설치를 권했지만, 고객이 편리한 앱을 직접 찾는 경향이 강해져 대부분 관련 지표를 뺐다.

김주연 기자 justina@seoul.co.kr
2019-08-29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